With the birth of ChatGPT, it has had a strong impact on the education industry, and the education association research is also diver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reference and new ideas for academic research in the educational field by analyzing the current research status, research hotspots, and research trends of ChatGPT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and new initiatives for education regulatory authorities. This study mainly used literature analysis and bibliometric methods to conduct quantitative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elected 452 advance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with the help of research tools such as CiteSpace 2022, WORDART2024, and XLSX2024, the data of the literature was input to generate visual chart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harts, conclusions were drawn.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research situation through the distribution of literature time, disciplinary specialties, research level, and academic journals. Secondly, the distribution of research hotspots is revealed through keyword frequency statistics and keyword co-occurrence analysis. By analyzing the author's research trends and publishing institutions, it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trends in this field.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number of publications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atGPT and education showed a steady upward trend, with the main disciplines focused on educational theory and computer application technology, and the publication journals concentrated on university sponsored academic journals and Chinese core journals. The research hotspots revolve around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strong intersection between hotspots. The research authors have strong independence and weak correlation. But there is strong integr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institutions.
이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해양영역의 용어, 학습개념, 탐구를 대상으로 학습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제 7 차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7학년, 고등학교 10학년 과학교과서를 사용하였다. 용어의 사용 빈도는 초등학교에서 중 · 고등학교로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증가하였으나, 용어의 해설은 고등학교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학습개념은 초·중·고등학교에 관계없이 구체적 개념이 형식적 개념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초·중·고등학교 전 과정에서 통해서 가장 높았다. 탐구과정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감에 따라 기본적 탐구과정에서 통합적 탐구과정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탐구활동은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토의, 실험, 조사의 탐구활동이 많았으나, 고등학교에서는 견학 및 과제 연구가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기본 교육자료인 교과서에는 학교급에 상관없이 주요 용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습개념과 탐구상황은 학생들의 인지발달과 과학·기술·사회와의 관계에서 전인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구과학교육에서 탐구활동은 야외학습을 통한 교육적인 효과가 크기에 적절한 적용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