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o help foreign broadcasters who will be in demand in the future develop pragmatic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skills suitable for broadcasting languag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broadcasting language and Korean for Occupational Purposes, the broadcasting language conditions for foreign broadcasters wer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s been interviewed and surveyed foreign broadcasters who are working at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Based on the needs assessment, the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items were designed.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broadcasting ability for foreigners; (2) content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ed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3) use the correct broadcasting language; (4) active response attitude; and (5) a broadcaster with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Proposals for the curriculum that can help foreign broadcasters grow into good communicators of cultural content in Korea are presented.
        6,000원
        2.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현재 각 방송사에 근무하는 방송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를 바탕으로 방송작가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 방송작가의 역량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방송작가 및 방송사 PD 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작가들의 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독려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파악하였다. 총 474명의 방송작가들을 대상으 로 웹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는데, 조사내용은 방송작가 입문 전 그리고 입문 후 받은 교육 프로그램, 방송작가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프로 그램, 방송작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방송작가 교육을 제도화하기 위한 방 안 등이었다. 조사결과, 설문에 응답한 방송작가들 중 약 70%가 작가 입문 전에 ‘프로그램 기 획 및 구성법’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프로그램 분 석 및 비평’, ‘표준어 및 맞춤법 등 문장 교육’, ‘방송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교 육 등을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방송작가들이 필요로 하는 재교육 프로그 램으로는 ‘표준어, 맞춤법 등 문장교육’, ‘기획, 구성법, 드라마 작법’, ‘방송의 윤리 적 문제에 대한 소양교육’ 등이 포함되었다. 방송작가와 PD들과의 심층인터뷰 결 과 교육 프로그램 이수를 장려하기 위해 방송작가 협회 가입 자격요건에 교육이수 포함, 작가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한편, 방송작가와 PD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작가 재교육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현실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7,000원
        3.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흥 글로벌 대학교로써 필리핀 대학의 가상 캠퍼스이자 5번째 구성 단위인 필리핀 개방대학(UPOU)을 중심으로 지식기반 시대의 평생교육에 관한 새로운 경향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필리핀 개방대학(UPOU)의 경험을 기반으로 본다면, 평생 학습은 본래 온라인 학습의 영향을받을 것임이 분명하다. 새로운 시대의 온라인 학습은 확장적이며 학습자 중심이 될 것이다. 그것은 교수자와 튜터의 개념을 멘토와 코치의 개념으로 대체할 것이다. 게다가 신 시대에서의평생 학습은 지리학적, 규율적, 그리고 유형적 경계간의 흔들림을 보여 줄 것이다. 국제어로서의 영어에 대한 통용 등으로 초국가적 교육이 더욱 지배적일 것이다. 또한 지식 분야간 경계들은 허물어질 것이다. 특정 노동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특별한 프로그램의 형태를 지닌 초지식적융합교육이 부상하게 될 것이다. 직업교육의 기초, 고등, 기술 교육과 같이 형식적 교육, 비형식적 교육 그리고 무형식 교육 간의 엄격한 경계들은 이러한 교육의 형태들 사이의 밀접한 소통에 따라 이제는 허물어질 것이다. 더욱이 프로그램들은 다양한 시작점과 종료점을 보일 것이다.자유입학제도, 자유 교육기간, 그리고 학습자원에 대한 공개 등과 같은 교육관리적 접근에서 뚜렷하게 나타날 개방교육은 또 하나의 새로운 경향이다. 게다가 유비쿼터스 환경은 평생 학습에서 주요 경향이 될 것이다. 학습은 넷북과 이동전화와 같은 단말기와 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WiFi와 WiMAX 서비스 등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마지막으로, 본 연구지를 통해 평생 학습 수요자들의 변화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이전에는 평생 학습의 기회들이 교육에의 접근이 근본 이슈였던 외곽 지역의 극빈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평생학습은 교육의 기회가 동등히 부여되지 않았던 소외층, 과년(過年)층, 그리고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왔다. 이제는 새로운 전달 체제의 결과로써 부유층, 전문가, 그리고 고등 교육자들이 소외층보다 더 많이 평생 학습의 기회를 활용하고 있다.
        4,300원
        4.
        200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최근에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방송의 과학 교육적 효율성과 목적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의 목적이 과학 지식의 습득뿐만 아니라 과학에 대한 상위인지의 향상에 있다고 보고 교육방송이 학습자의 과학에 관한 상위인지를 고차원화할 수 있는지를 2002년, 2003년에 걸쳐 학교의 행정적 차원에서 EBS교육방송을 1, 2학년 수업에 활용했던 ㅂ 고등학교를 통해 고찰하였다. 더 고등학교에서는 자료형 방송 활용 수업모형과 학습자 중심의 모형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따라서 학습자들은 수업을 통해 과학적 지식만을 습득할 뿐 상위인지를 고무시킬 수 있는 자극을 받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교육방송이 과학교육에 효율적이고 타당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상위인지에 해당하는 상위지식, 경험. 모니터링이 적극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과학의 학습을 위한 교육방송에 매개되어야 하는 것은 첫째, 학습자들이 상위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교사가 자극하거나 관련 자료를 간헐적으로 상기시키는 조정이다. 둘째,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자신의 개별 체험을 발동시킬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유추할 수 있는 관련 실험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자신의 학습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교사는 적절한 질의를 제시하거나 피드백하고 학습자들의 대화의 장도 마련해야 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