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odor causing in the under-fired charbroiling restaurant was reported in literature investigation,pilot test and field experimental verification. The charbroiling restaurant causes odor complaints of Neighbors soefficient reduction method is requested. Acetaldehyde, ammonia, sulfur compound and the oil mist of white smokeare found to cause odor from the charbroiling restaurant. Pilot test results show that in the removal efficiency ofodor, Electrostatic Precipitation was 67.4%, absorption was 81.2%, adsorption was 74.2% and the ElectrostaticPrecipitation & Adsorption the hybrid system with 85.7% respectively. In the same condition of the hybrid system(Electrostatic Precipitation & Adsorption), the odor removal efficiency were higher when the design parameterssuch as the discharge voltage and current were high. The process efficiency were higher when as the implanterpole was cylindrical. However, the process efficiency rapidly reduced due to the contamination of the processcomponent or material, as the operating time of the equipment is increased. Therefore, fixed maintenance and repairof the equipment is found to be are very important, for long term operation. Therefore, as the experimental resultof this study, applying hybrid system removed odors caused in under-fired charbroiling restaurant which areunregulated, is more effective device that settle civil complaints and preserve environment.
        4,200원
        2.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확인규제 모형을 토대로 운동이나 신체활동 자체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게 인지적-행동적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자율성지지 접근의 당위성 제시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재집단 내 학생(남학생, n=17)들이 통재집단 내 학생들(남학생, n=20)에 비해 자율성지지 환경인식, 확인규제, 의도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무동기에서는 소폭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지각된 자율성지지와 확인 규제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당위성 제시의 효과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집중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중재집단 내 학생들은 첫째,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 둘째, 상호 간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형성, 그리고 셋째, 개인차에 따른 미래 신체활동에 대한 의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적용 가능성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