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ffectiv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in developing young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y comprised the experimental group of 20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20 children. As the treat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er applied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to small groups of five children using active interactions. Twelve sessions had been carried out once or twice a week for nine week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tructural development levels of fictional narratives, the emergence of structural components, the use of logically cohesive devices, the number of clauses. This suggests that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us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would be one of effective ways of developing young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s.
        3.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의 그림책 함께 읽기 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들의 언어적 반응 및 이야기 이해 전략의 변화·전개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찰일지와 비디오 녹화 및 녹음의 3가지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들의 언어적 반응이 초기에는 구성요소에 초점을 두고 반응하였으나 후기에는 그림책을 하나의 문학작품으로 보고 접근하는 반응들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들은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함께 읽기 활동이 문학적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언어적 반응 및 이야기 이해 전략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그림의 의미나 분위기가 유아에게 본문과 더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또래 유아간 언어적 상호작용의 범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의 또래 유아간 언어적 상호작용은 이야기 구조에 대한 상호작용, 의미에 대한 상호작용, 활자에 대한 상호작용, 그림에 대한 상호작용, 북 디자인에 대한 상호작용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이야기 구조에 대한 상호작용은 배경(시간, 장소), 인물, 주제(문제 혹은 목표), 플롯 에피소드, 해결 등의 내용이 나타났으며, 의미에 대한 상호작용은 명명하기, 묘사하기, 해석하기(연상하기, 정교화하기), 예측하기, 자신의 경험과 연결짓기, 단어의 뜻 질문하기, 해설자식 행동하기 등의 내용이 나타났다. 활자에 대한 상호작용은 글자에 대해 질문하거나 말하기, 발음에 대해 질문하거나 말하기, 단어에 대해 질문하거나 말하기, 단어 읽기, 문장 읽기 등의 내용이 나타났고, 그림에 대한 상호작용은 예술적 요소, 예술적 양식, 예술적 매개체 등의 내용이 나타났으며, 북 디자인에 대한 상호작용은 표지, 면지, 인쇄 정보, 책의 모양 등의 내용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