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유아교육연구 KCI 등재후보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0권 (2008년 2월) 10

1.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RIASEC 모형에서 예술형(A) 직업흥미를 보이는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173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직업흥미의 GOT, BIS, PSS 척도별 분포 및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예술형(A) 유치원 교사의 직업흥미는 GOT 척도에서 예술형(A)이 가장 높고, 사무형(C)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BIS 척도는 예술형(A) 코드의 음악/드라마, 미술이 가장 높고, 진취형(E)코드의 판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PSS 척도는 학습유형에서 학문적인 학습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T 척도내 상관관계는 인접코드인 예술형(A)과 탐구형(I), 예술형(A)과 사회형(S)간에상관이 있으며, PSS 척도내 상관관계는 학습유형과 리더쉽유형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OT 척도와 BIS 척도간 상관관계는 현장형(R)의 자연, 탐구형(I)의 과학, 예술형(A)의 음악/드라마, 미술, 응용미술, 글쓰기, 사회형(S)의 사회봉사, 진취형(E)의 대중연설, 법/정치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OT 척도와 PSS 척도간 상관관계는 예술형(A)과 학습유형간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SS 척도와 BIS 척도간 상관관계는 학습유형이 예술형(A)의 글쓰기, 진취형(E)의 대중연설, 법/정치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특수아동의 현재 학습수행 수준을 파악하고 장단기 목표를 작성하는 일은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수아동의 개별화교육계획의 핵심적인 요소인 현재 학습수행 수준 파악 및 장단기 목표 작성을 위해 활동표본평가를 적용해 보고 그 경험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활동표본평가 적용의 연구 결과의 제시와 함께 활동표본평가가 특수아동의 교육진단을 위한 검사도구에 적절함을 논하였다.
3.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집단 간에 그리고 집단 내에서 기질과 성차의 특성이 자기조절력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라 자기조절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1.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간에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1-2. 교사가 지각한 유아 기질의 집단 내에 자기조절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가? 자기조절력은 구성요인 중 인지조절의 하위요소인 계획하기, 점검 및 평가, 정서조절의 하위요소인 정서인식, 정서억제, 대처하기 모두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 자율행동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 것이었다. 경상남도 J시와 C시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268명과 그들의 어머니 2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구성 차원 중 활동성이 유아 자율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유아 기질 차원 중 활동성 자율행동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의 경우, 유아 기질 구성차원과 자율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합리적 지도가 유아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성별로는 남아의 경우,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한계설정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여아의 경우, 양육행동 하위 요인 중 합리적 지도와 반응성이 자율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5.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 간의 일상적 내러티브 대화에서 자녀의 일상적 내러티브를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48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48명으로 총 48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정교한 방식’과 ‘반복적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정교한 방식의 요소는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 이고, 반복적 방식의 요소는 반복 진술, 반복 질문, 문장 완성형 진술 및 질문, 기억자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 대화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교한 방식은 각 하위요소인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대화방식 중 정교한 방식에서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의 요소 모두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이 4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4수준이 넘어서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6.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만 4세 후기에서 만 5세 중기동안의 유아들이 어떤 내용의 유머를 사용하며, 그 내용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유아들이 유머를 사용하는 의도는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유아들의 유머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 유아는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남아 3명이었으며, 연구는 11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만 4세 후기에서 만 5세 중기동안의 유아들이 사용하는 유머의 내용은 크게 금기에 대한 도전: 지저분한 것들이 선사하는 통쾌한 즐거움, 과장: 즐거운 향연, 부조화: 신선한 딜레마, TV 모방하기: 바보상자와의 조우, 언어유희로의 걸음마 떼기 등 다섯 가지 범주로 특징지어졌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머의 양과 질은 발달하였고, 보다 적극적으로 유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들이 유머를 사용하는 의도는 크게 다섯 번의 변화를 거쳐 나타났다. 연구 초기인 만 4세 후기 유아들의 단순 놀이로서의 유머 사용의도를 시작으로 단순 놀이에서 교사의 유머 따라 하기로, 교사의 유머 따라 하기에서 친구에게 기쁨주기로, 친구에게 기쁨주기에서 우리의 결속 다지기로, 우리의 결속 다지기에서 인기아 되기의 의도로 유머를 사용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7.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가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의 구조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이며 실험집단은 2006년 10월 9일부터 2006년 12월 29일까지 총 12주간에 걸쳐 명화를 감상하고 이야기를 만들어보는 과정(12회)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생활주제에 따른 언어활동만 실시하였다.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의 절차는 명화 탐색하기, 명화에 대한 느낌 이야기하기, 이야기의 단서들 찾기, 이야기 단서들을 연결하여 이야기하기. 상상적 이야기 만들기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명화감상을 통한 이야기 만들기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생활주제에 따른 언어활동만 실시한 유아들보다 상상적 내러티브의 구성 요소, 구조 수준, 상상적 내러티브의 길이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8.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ffectiv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in developing young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two classe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y comprised the experimental group of 20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of 20 children. As the treat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er applied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to small groups of five children using active interactions. Twelve sessions had been carried out once or twice a week for nine week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structural development levels of fictional narratives, the emergence of structural components, the use of logically cohesive devices, the number of clauses. This suggests that the wordles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us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would be one of effective ways of developing young children's fictional narratives.
9.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전반적인 관계는 어떠한가? 3-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사고양식은 군주적, 외부지향적, 행정적, 자유주의적인 순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 전체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10.
2008.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고, 연구 대상은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한 2개 병설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과학적 태도 검사와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집단별 평균 증가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탐구 중심 실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해결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탐구 중심 실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