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유아교육연구 KCI 등재후보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3권 2호 (2011년 12월) 7

1.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2개 공립유치원 3학급과 대전에 소재한 3개 공립유치원 3학급에 재원중인 만 5세 학급 유아 146명(남아: 71명, 여아: 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유아 관계 평가의 갈등, 친밀감, 의존척도에서 교사에 의한 지각 정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사-유아 관계에 대하여 교사는 교사-유아 관계가 비교적 원만하며 긍정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관계의 성향은 남아와는 갈등이 높은 편이고 여아와는 친밀감이 높은 편이며 의존은 여아보다 남아와의 관계에서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유아 관계의 지각정도와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 유능성에 대하여 이원변량분석 결과, 갈등, 친밀감, 의존 척도 모두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와 유아의 또래 유능성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척도 별로 보면 교사의 갈등의 지각 정도에 따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모두에서 주효과를 보이며 차이가 있었다. 친밀감의 지각정도는 친사회성과 주도성에서 유의한 주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친사회성에서는 교사의 지각정도와 유아의 성별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의존의 지각정도는 친사회성에서 유의한 주효과를 보이며 차이가 있었다.
2.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공․사립유치원 교사 195명을 대상으로, '자기지도성 질문지', '직무만족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교사의 배경변인 중 학력, 근무기관 유형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은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교수 성취감, 교수권한과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배경변인 및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성취감이 자기지도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지도성의 행동적 전략에 대하여는 학력, 자기지도성의 인지적 전략에 대하여는 교수 권한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성차가 있는지, 또한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유능성간의 관련성과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의 공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129명이었다. 그 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과 또래 유능성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성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변인군간의 관계 파악을 위해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하위요소인 인지적 영역은 또래 유능성 변인군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며, 또래 유능성 변인군 중 친사회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고, 주도성과 사교성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군 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성차는 남아는 사회․정서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친사회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여아는 인지적 영역의 자기효능감이 주도성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 유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아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하며,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성공경험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의 제공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지도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만5세 28명, 통제집단은 D병설유치원 만5세 28명이며, 연구도구는 박주희와 이은해(2001)의 취학 전 유아용 또래유능성 척도와 한은희(2009), 이나영(2008), 교육인적자원부(2006) 등의 관련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총15가지 협력활동이었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또래유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유치원에서 협력활동 경험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5.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평가의 목적 및 방법, 평가의 영역 및 지표, 평가의 만족도 및 결과 활용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교원 중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원 14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유치원 평가의 목적은 유치원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 제고가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 평가는 3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의 절차는 자체평가와 현장평가로 실시되어야 하며, 유치원 평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평가 절차 및 서류의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유치원 평가 영역 및 지표의 내용이 많고 광범위한 것은 부적절하며 평가 영역에 따른 지표의 범위 축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국가공통지표 외에 자체지표가 필요하며, 교육과정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유치원 평가제도의 만족도는 보통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평가결과는 해당 유치원에게만 공개하고 평가영역별 우수 유치원의 사례를 선정하여 교육청 홈페이지에 탑재하는 것이 적절하며, 각 유치원의 교육과정 및 운영을 위한 피드백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6.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며 성차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 자기존중감의 수준과 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서산시의 공립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159명이었다. 그 결과, 유아는 자기존중감에서 비교적 긍정적인 자기지각을 하고 있으며, 유의미한 수준에서 성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미한 수준의 성차를 보이지 않았다. 유아의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자기존중감 수준의 주효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성별의 주효과와 자기존중감 수준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2011.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8명을 실험집단(19명)과 통제집단(19명)으로 하여 13주 동안 유아 1인당 주 2~3회, 총 31회의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에 따른 유치원 일과운영에 맞추어 활동하였다. 그 결과,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유아의 유치원 적응과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 유치원 환경에서의 긍정적 정서, 유치원 생활에서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