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김춘수가 이상에 대한 비평에서 ‘이상은 왜 키르케고르의 길을 가지 않았는가?’를 물은 데 착안하여, 시인으로서의 존재론적 지향점이 김춘수는 초월성을 향해 갔으며, 이상은 내재성을 향해 갔다는 전제 아래에 논증되었다. 초월성을 지향한다는 것은 차안으로부터 피안의 신, 존재, 진리, 선을 추구한다는 것이며, 내재성을 지향하는 것은 자연으로부터 유래한 인간의 본성과 생명력을 신뢰하며 자기의식의 체험을 긍정하는 것이다. 김춘수는 초월성의 관점을 키르케고르의 신학에서 취한 바, 이 논문 또한 그의 사상을 원용하여 논증해 나아갔다. 이상 문학의 절망, 불안, 권태 등은 키르케고르의 1단계 심미적 실존에 머문다. 이상은 키르케고르적인 신학적 세계관과 아가페적 사랑을 추구하지는 않았지만, 천재로서 절망과 불안을 감내하며 내면의 자유를 추구하여 예술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데 기여하였다. 결론적으로, 키르케고르의 신학적 길을 간 것은 오히려 릴케의 영향을 받은 김춘수였다. 한국현대시사에서 모더니즘의 두 거장 이상과 김춘수는 ‘내재성’의 사상과 ‘초월성’ 사상의 두 축을 담지하여 한국의 정신사를 풍요롭게 하였다.
        8,100원
        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들레르와 김춘수의 시세계는 고통의 감각으로 점철되어 있다. 보들레르는 그의 시론인 인공낙원 과 일련의 시편들에서 마약중독으로 인한 고통을 승화 하는 양상을 아름답게 형상화한다. 김춘수는 그의 시론인 고통에 대한 콤플렉 스 와 일련의 시편들에 고문 체험으로 인한 고통을 승화하는 양상을 아름답게 형상화한다. 이 시인들은 궁극적으로 예술작품의 창작이라는 승화를 통해 고통 스러운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예술적 이상으로서의 인공낙원의 건축으로 새로 운 시인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자기 치유를 추구한다. 이러한 고통의 감각은 정신 분석학적으로 인간의 근본조건으로서의 죽음충동이 반복강박적으로 시적 주체 를 공격한다는 데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고통의 극한에서 상징적 죽음으로서 의 무의 지점을 발견한 보들레르와 김춘수는 무로부터의 창조를 해 나아간다. 그 결과 보들레르는 인공낙원과 미학적 천국에 이른다. 이와 대조적으로, 김춘 수는 신학적 천국으로서의 인공낙원, 즉, 천상과 지상의 일치에 이른다.
        5,700원
        3.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상징주의자인 발레리와 김춘수의 신화시를 비교연구 하기 위하여, 카시러의 신화론의 관점을 원용하였다. II부에서는 근본감정인 신성함의 구현으로서의 신화시가 논의되었다. 발레리의 「나르시스는 말한다」와 「나르시스 단장들」 , 그리고 김춘수의 「나르시스의 노래」는 ‘나르시스’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형상화하는 시인의 신화적 원형을 보여주었다. III부에서는 세계를 형성하는 정신적 힘으로서의 신화시에 관하여 논의되었다. 발레리의 『젊은 파르크』와 김춘수의 『처용단장』은 신화를 하나의 인식형식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시인으로서의 인생의 역경을 극복하게 하였다. IV부에서는 순수 존재로서의 신을 현현하는 신화시가 논의되었다. 발레리의 『해변의 묘지』, 그리고 김춘수의 「신화의 계절」과 「밝안제」는 신화적 근원 시간으로 인간을 되돌려 순수 존재로 거듭나도록 하였다. 폴 발레리와 김춘수의 신화시는 신화라는 형식을 빌려 상징의 언어로 내면의 존재계를 형상화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세계문학사에서 폴 발레리와 김춘수의 신화시는 존재론적으로 인간이 추구할 수 있는 이상적 존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데서 그 고결한 가치를 지닌다.
        9,500원
        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두진은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인간의 원죄의식과 타락한 본성, 이를 대속하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시로써 노래하였다. 그에게 예수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실현한 인물이자 죽음을 이기고 인류를 구원한 하나님의 아들이었다. 특별히 사도행전 연작에서는 그리스도의 군사된 소명의식으로 시대와 민족을 향한 사도적 의지를 강하게 표출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주어지는 고독과 고통을 기꺼이 감내하려는 정신주의자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김춘수는 역사가 주는 폭력을 체험한 후 역사의 실체에 대한 탐구의 결과로서 예수를 소재화하였다. 그에게 예수는 가장 무력한 자의 본보기로서 역사의 희생양이었다.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 역사라는 괴물 앞에 예수는 사랑의 화신으로 삶을 마감한 인물이었다. 또한 예수는 부활이라는 알레고리를 통해 인류에게 하나의 심리적 진실로 자리한 신화적 인물이기도 했다. 박두진이 자신의 실존의 의미를 그리스도를 향한 열망으로 시화하였다면 김춘수 시인은 역사의 이율배반성에 대한 인간 존재의 슬픔과 그의 고통 콤플렉스를 시 쓰기 작업으로써 극복하였다.
        6,600원
        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시는 후기산업사회의 인간 소외나 인간성 상실, 정보화 시대의 낯선 환경과 경험 조건들에 새로운 방식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스스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변화와 새로움을 중심적인 가치로 삼는다. 모더니즘 시에 있어서의 이 변화는 ‘부정성’을 전제로 한다.김춘수 시에 있어서 환유의 형성 방식은 한국의 모더니즘 시의 언어관을 살피는데 매우 중요하다.『처용단장』의 무의미시에서의 환유는 언어 기호의 물질성과 단절(depaysement), 주체와 대상과의 거리 소멸, 세계와 자아의 변용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들은 언어 기표의 낯선 조합이라는 ‘형태주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언어는 하나의 기호, 즉 물질로서 각 기호들 간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단지 이 기호들은 ‘리듬’이나 ‘서술적 이미지’만으로 발현된다. 이러한 리듬과 서술적 이미지들 간에는 서로 단절되어 있어 충돌과 해체를 동반하고 이 충돌과 해체는 낯선 이미지나 엉뚱한 이미지들의 결합에 의해 생겨난다. 이로 인해 환유는 새로운 영역을 만들어 나간다.또한 주체와 대상과의 관계를 보면, 무의미시에서 나타나는 기호는 주체와 그것이 지시하는 지시대상과의 거리가 소멸되고 그 소멸된 자리에 다양한 언표들이 환유적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주체와 지시대상과의 거리 소멸은 자유연상에 의해 환기된다. 자유연상에 의한 이미지들은 각각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무의미하게 스쳐 지나가는 풍경일 뿐이다. 이런 우연적인 결합에 의한 기호들은 본래의 의미를 상실해 버리고 즉물적인 이미지로 존재하게 된다.마지막으로 무의미시에서 나타나는 물질성인 기호들은 사물 자체의 본질을 소멸시킴으로서 변용을 꿈꾸게 된다. 인간과 사물과의 관계, 생물체와 무생물체와의 관계를 초월하여 관념에 의한 의미 영역이나 이미지를 해체하고 파괴한다. 그리고 사물이 가지고 있는 ‘실용성’이나 ‘합리성’을 소멸시켜 버리고 이러한 각각의 사물들은 등치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전연 다른 이미지로 발현된다. 이와 같이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환유의 형성 방식은 196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6,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