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발전과 함께 성장한 차량공유서비스는 신기술과 결합하며 더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 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을 유도하고 촉진하기 위해서는 감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자동차의 감성과 관련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차량공유서비스 관련 연구들은 주로 교통정책이나 산업공학 관련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차량공유서비스의 사용자에게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서비스를 확산하기 위해서는 차량공유서비스의 감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공유서비스에서 기대되 는 감성을 표현하는 어휘를 탐색하고 대표 감성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차량공유서비스와 감성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이해하였다. 그리고 관련 문헌에서 감성 어휘를 수집한 후, 전문가 리뷰를 진행하여 차량공유서비스의 감성 어휘 탐색에 적절한 어휘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리된 감성 어휘 항목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차량공유서비스에서 기대되는 대표 감성으로 <혁신>, <실용>, <불편>, <충실>, <쾌락>, <유연>의 6가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차량공유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느끼거나 기대되는 감성을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는 감성 어 휘와 대표 감성을 도출했다는 것에 연구 의의를 가진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 대표 감성을 바탕으로 이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평가 항목을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들어 한복에 대한 문화수용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한복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문화수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한 한복이 일상복으로까지 확산되려면 한복의 기능성 측면뿐만 아니라 한복을 착용하면서 느끼는 감성적인 만족까지 가져다주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한복을 경험하면서 표출되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에 대한 기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심리학, 언어학, 감성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연구결과와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수집한 182개의 감성어휘를 활용하여 델파이 기법과 적합성 평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복에서 표출되는 감성어휘 28개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28개의 감성어휘는 한복에서 느끼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표현하기 위한 감성어휘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선택된 28개의 감성어휘들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어휘들을 그룹핑하였다. 결론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6개의 요인에 적재된 감성어휘들은 각 요인에 적재된 감성어휘들의 공통적 특성에 따라 ‘유쾌감’, ‘심미감’, ‘조화감’, ‘신선감’, ‘호감’, ‘안정감’ 등 6개 감성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된 6개의 감성 카테고리는 사용자들이 한복에서 느끼는 대표감성 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28개의 감성어휘와 6개의 대표감성은 한복에서 표출되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본 연구에서 추출한 대표감성을 이용하여 한복에서 느끼는 문화수용자의 감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평가스케일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자동차 인테리어에 사용된 여러 가지 재질에 대하여 현재까지 촉감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소재의 적용과 표면질감의 기준을 결정하고자 했던 연구는 자동차의 조작 장치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 시각적 디자인요소에 대한 연구에 비해서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인테리어의 여러 소재에 대한 촉감 관련 감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촉감 관련 대표감성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감성어휘 연구에서 추출되어 있는 대표감성어휘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탑승하여 여러 재질을 보고 만지면서 촉각으로 느껴지는 촉감에 대해 느껴지는 감성어휘와 자동차 사용기의 분석 및 자동차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52개의 촉감 관련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이를 요인분석한 결과 거칠기, 단단함, 마찰감, 안락감, 뻣뻣함, 부드러움, 온도감, 매끈함, 친숙함, 유연함 등 10개의 대표감성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대표감성 어휘는 자동차 인테리어의 촉감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속, 플라스틱, 가죽 등 다양한 소재들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감을 결정할 수 있는 감성평가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