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도시선교가 어느 사역보다도 필요한 것은 도시로 몰려드는 이주민들의 행렬이 크게 나타나 도시의 세속화와 빈부의 격차 문제로 인해 선교적인 해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시선교사역이 지금도 한국교회 선교전략의 중심이 되어야 하는 것은 도시로 몰려드는 청년선 교를 위한 것이다. 팀 켈러(Tim J. Keller)는 오늘날의 도시선교가 지상위임명령의 성취의 중요한 사역임을 강조하고 뉴욕 맨해튼에서 리디머장로교회를 개척하고 목회하였다. 팀 켈러는 포스트모던 세대인 도시의 젊은이를 전도하기 위한 교회를 개척하고 현대 사회에 필요한 선교적 교회의 목회 방법으로 6가지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첫째, 선교 적 교회는 사회 속 우상들을 대면해야 한다. 둘째, 선교적 교회는 능숙하게 상황화하며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해야 한다. 셋째, 선교적 교회는 그리스도인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선교의 삶을 살도록 훈련시켜야 한다. 넷째, 선교적 교회는 공익을 위해 대응문화(Counter-culture) 여야 한다. 다섯째, 선교적 교회는 스스로 상황화 되어야 하고 비신자나 구도자 등이 교회 생활과 사역에 대부분 연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선교적 교회는 반드시 일치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은 사람들의 도시 이해와 도시의 변화 발전이 교회의 사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고 또 교회가 변화하는 도시에 대한 이해와 적응 여부가 교회의 시대적 사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 다. 본 논문은 시대별로 사람들이 관념 속에 있던 도시에 대한 이해와 관점을 사회학적 이론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그 합의된 도시 이해가 당시 교회들의 사역 방향과 범위에 어떤 식으로 표현 되었는지를 살펴보 았다. 도시 이해에 관한 이론 연구로는 근대 서구 사회학 중에서 도시학 (urbanology)의 변천과 발전 과정 가운데 탄생한 이론들을 주요 해석 적 방법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근대의 도시 학은 당시 사회와 교회들의 도시에 관한 인식을 적어도 네 가지 단계-공간적, 그룹들의 집합체, 변화의 과정중, 글로벌 네트워크의 일원- 에 걸쳐 변화 하도록 영향을 미쳤다. 찰스 벤엥겐(Charles Van Engen)의 이론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선교 학의 주요 구성 영역인, 말씀, 교회, 현장 중에서 현장의 이해에 중점을 둔 글이다. 이 논문을 통해 교회들은 자신의 사역 철학이 이 네 가지 관점 중의 어디에 멈춰 있는지를 돌아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