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정상안에서 조도에 따른 눈의 굴절력과 동공 크기의 동적변화를 측정하고, 동공 중심점의 이동량과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20년 7월부터 2020년 9월까지 경기도 지역 안경원에 원용 안경 처방을 위해 내원했던 안과적인 질환 및 각막 굴절 교정 수술 경험 없는 성인 29명(남 14명, 여 15명) 58안을 검사하였고, 평균 나이는 35.62±14.48세였다. 전자동 수차 분석기를 이용하여 조도에 따른 눈의 굴절력, 동공 중심점의 변화 값을 측정하 였고, 각각 3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조도 변화에 따라 명소시와 암소시에서의 굴절력, 그리고 동공 중심의 이동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조도에 따라 구면 굴절력은 –2.80 D에서 -2.94 D로 평균 –0.14 D 만큼 변화하였다(p<0.001). 원주 굴 절력은 –0.93 D에서 -0.98 D로 평균 –0.05 D가 증가하였다(p<0.001). 동공 중심점의 평균 이동량은 수평 방향으로 0.14 mm, 수직 방향 0.13 mm만큼 이동하였다. 방향 별 동공 중심점 이동은 양안에서 상측 35안(60.3%), 하측 20안(34.5%), 코측 25안(43.1%), 귀측 33안(56.9%) 이동하였다. 양안에서 동공 중심점 이동은 수평방향으 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r=0.700), 수직방향으로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었다(r=0.244). 결론 : 조도가 어두워질수록 구면굴절력은 (-)방향으로 커지고, 동공 크기가 증가하며, 동공 중심은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모두 이동하였다. 따라서 야간 활동 안경렌즈를 조제할 때는 굴절력 변화와 동공 중심 이동에 따른 시력의 질적 저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근시안에서 조도 변화에 따른 동공크기와 동공 중심점 변화를 관찰하고, 동공크기 변화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술을 경험한 적이 없고 안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20명(평균 연령 23.90 ± 2.28 세, 평균 등가구면굴절력 –3.09 ± 2.84 D, 4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실 조도는 100 lux 상태에서 동공 크기와 동공중심 이동은 Wavefront Analyzer(KR-1W, Topcon, Japan)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기에서 조정되는 암소시(scotopic condition), 명소시(photopic condition) 상태에서 각각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SPSS(versio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도와 굴절이상도(근시도)에 따른 동공크기와 동공중심 이동량을 비교하고,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조도에 따라 동공크기는 명소시 상태에서 4.64±0.73 mm, 암소시 상태에서 6.55±0.67 mm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근시도에 따른 동공크기는 암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에 따라 상관성이 없었지만(p=0.063), 명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동공크기는 유의 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3). 동공중심 이탈 정도는 명소시 상태에서 0.34±0.18 mm, 암소시 상태에서 0.28±0.15 mm로 조도가 높으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7). 근시도에 따른 동공중심 이탈 정도는 암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에 따라 상관성이 없었지만(p=0.108), 명소시 상태에서는 근시도가 증가할수록 동공중심 이탈 정도는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1 r=-0.367).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된(명소시 상태에서 0.20 mm 이상, 암소시 상태에서 0.07 mm 이상) 동공 중심이 이탈된 대상자는 각각 75%, 90%로 나타났으며, 이탈 방향은 귀 쪽이 대상자의 60%, 코 쪽이 40%, 위쪽이 68.75% 아래쪽이 31.25%로 귀쪽 과 위쪽으로 이탈된 경우가 많았다. 결론: 조도가 높아질수록, 동공크기는 유의하게 감소하며, 동공 중심 이탈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동공크기 변화에 따라 동공중심 이탈 정도가 변할 수 있으므로, 동공의존성 구조를 갖는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동공중심 이동에 따른 시력의 질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