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몽천자(牖蒙千字)󰡕는 한국개신교선교사 게일(James Scarth Gale(한국명 : 奇一), 1863-1937)과 그의 조사(pundit) 이창직(李昌稙, 1866-1936)이 함께 편찬한 경신 학교와 정신여학교의 교과서이다. 이 책은 총 4권으로 구성된 교재다. 여기에 실린 내용 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서양의 역사, 서양의 인물, 서양의 문학, 우리의 한문고전에 관한 것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개화기에 우리의 어문 생활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한자 와 관련 정보, 한자어, 국한문, 한문에 관한 지식을 정식 학교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알 려 주기 위하여 편찬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유몽천자󰡕 전집의 체계와 구성, 전 집을 구성하는 3가지 문체 유형, 그리고 전집에 새겨져 있는 개신교선교사의 문체실험의 역사를 고찰했다.
        4,900원
        2.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고는 성경 번역에 있어서 어린이(미성년)와 어른의 문체 차이로 인한 ‘수용성’ 여부를 연구한 것이다. ‘수용성’은 보그란드와 드레슬러가 주장한 ‘텍스트성’(textuality)의 하나이다. 어린이와 어른의 성경 문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여덟 가지 방법으로 시행을 했는데 그에 해당하는 예로는 어린이 그룹을 네 부류(A, B, C, D)로 성인그룹을 네 부류(A-1, B-1, C-1, D-1)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각 문체에 따른 번역 결과물의 수용 여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경 번역의 문체 비교에서 독자들은 격식체를 선호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성경 특유의 문체를 선호한다는 것 또한 밝혀졌다. 독자의 입장에서 번역가가 번역하는 것은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것이 번역학의 이론이자 보그란드와 드레슬러의 주장이다. 그러나 성경 번역의 경우 예외가 되며, 독자에 대해서 너무 고려하여 번역하면 오히려 효과적이지 못한 번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고의 결론이다.
        6,100원
        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현행 한문 교육에서의 문체교육을 문제 삼으면서, 한문문체개념의 설정,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문학에서 사용되는 문체라는 용어는 국내에서도 연구자에 따라 문체, 體類, 갈래, 양식, 형식등의 용어가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이들의 논의에서 문체의 개념을 정리하여 보면 文類, 類別과 같은 갈래용어, 體式, 體裁와 같은 형식용어, 作風, 文風과 같은 風格용어, 풍격과 형식을 함께 의미하는 문체 등과 같은 용어들이 혼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구문학의 Genre와 Style의 개념이 동시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러한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최소한 중등 교육현장에서는 형식, 수사의 개념에는 文體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갈래를 나타내는 개념에는 文類를 사용하자고 제의하였다. 그리고 한문문류의 장르분류체계와 그 용어에 대하여서는, 平仄, 韻脚, 造句와 같은 율격의 3요소들을 주요 작문장치로 사용하는 辭賦, 箴銘, 頌贊 등과 같은 장르를 독립된 “律文”으로 분류하여, 한국한문학의 장르를 그 작품형성의 원리에 기초하여 시, 율문, 산문의 3대 장르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문류를 분류하는 단계별 용어를 교육함에 있어서 門-類-項-子目과 같은 전통적인 문체분류 용어를 사용하자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한문문체교육의 범위와 그 방향성에 있어서는 먼저 文類와 독립된 의미로서의 文體개념을 제시하고 그런 기반 위에서, 산문은 변문체와 고문체를 기준으로 시대와 학파에 따른 문체특징을 제시하고, 율문은 잠명, 송찬, 사부 등의 다양한 글쓰기 양상들을 학교급별, 과목별로 수준과 난이도를 조절하여 정리 제시하자고 제안 하였다.
        4.
        200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鬼神論은 남효온이 글의 말미에 밝히고 있듯이 그의 나이 29세 무인년(1482, 성종13) 가을에 짓기 시작하여 갑진년(1484) 31세 여름에 마친 대작이다. 한 작가 가 卷帙의 차원이 아닌 산문 작품 하나를 완성하는데 3년이란 세월을 보냈다는 것은 작가가 그 작품과 주제에 대하여 가졌던 각별함과 중요성을 살피기에 충분 하다. 그 문장 형식에 있어서도 총 6466글자로 이루어진 장편 大論에 속하는 작품 으로서 작품의 규모적인 측면에서도 韓非子에 의하여 쓰여진 중국 장편 대론의 대표작인 五竇가 5천여자인 것에 비교한다면 그 형식적 면에서의 방대함을 알 수 있다. 鬼神論은 그 형식과 수사에 있어서 敍事와 敍情寓言과 比喩의 수사기교를 제시하면서 語錄體형식을 벗어난 단형 論文의 형식을 제시한 莊子의 논과는 완 전히 반대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 논리전개형식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長篇의 議論을 전개하여 傍證을 두루 이끌어 오고 고금을 관통하는 기세를 보인 韓非子 의 논에 그 연원을 두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 논리전개 방법론으로는 論語의語錄體를 이용한 문답 형태를 주로 하면서 孟子의 論駁을 통한 논리전개 형식을 문답형식의 의론 속에 내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수사상으로는 수사가 배제된 서술 문을 위주로 하면서 체계적인 논리성과 명료성, 적절한 예증과 독창적 시각을 통 하여 주제전달을 함으로서 “論精微而朗暢” 이라는 논의 문체적 특성을 실현시키 고 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전체적으로 볼 때 儒家의 實證적 논리전개방식의 語錄體, 孟子의 論駁, 表題와 내용을 일치시킨 莊子, 韓非子의 長篇大論形式등 과 같은 논의 모든 글쓰기 형식과 논리전개형식을 수용하여 소화해 낸 우리 문학 사에서 매우 주목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5,100원
        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상상과 관련된 이론을 상상의 속성, 상상력 발휘의 조건과 관건, 상상력과 언어표현의 관계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유협이 <文賦>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전개했음을 볼 수 있다. 창작의 경로를 思→意→言로 인식한 점도 그러하다. 그 중 상상력 발휘의 조건을 허정(虛靜), 학문(積學), 이치(酌理), 독서와 연구(硏閱), 정취(馴致)로 세분화한 점이나 상상력의 관건을 통솔하는 요소로 志氣를 제시한 점 등은 육기의 이론을 더욱 발전시킨 부분이다. 두 사람의 이론을 동일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본 논문은 육기가 창작자의 시각으로 문학의 문제에 접근했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육기는 창작의 고통을 깊이 체험하고 <文賦>에서 상세하게 묘사했다. 유협은 상상의 근본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접근했지만 육기는 불가지의 영역으로 인식했다. 오히려 상상이 막혔을 때의 고통에 대해 묘사했다. 이런 특징은 문체론에서도 명확하게 나타나는데 유협이 뚜렷한 기준을 설정하여 문체를 구분하고 각 문체의 특징을 상세하게 서술하는데 중점을 둔 반면 육기는 문체운용에서의 임기응변과 창조성을 강조했다. 역시 창작자의 입장이 투영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두 사람의 이론이 문학의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6,400원
        6.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inese reports of the 1930s always show propaganda characteristics. First, at the that times the Chinese reports had a clear aim; second, the reports recorded social facts, and a turbulent situation provided right chance for the propaganda; third, the reports really knew how to grasp anopportune moment to pass on their idea . The last , the reports mastered a good propaganda ways.
        5,100원
        7.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9.
        1985.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10.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문체는 필자의 사상이나 개성이 글의 어구 등에 표현된 전체적인 특색 또는 글의 체제를 말한다. 문체는 특정한 작가 개개인의 표현구조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장르, 시대, 방언, 언어의 종류 등이 지니고 있는 유형화된 표현구조까지도 가리키는 수가 있다. 글의 문체는 문장의 길이, 힘의 유무, 수식의 유무, 어투(말투), 용어, 종결 어미, 글의 형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언어가 문화와 사회를 반영하듯, 문체도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것은 문체가 사회 계층이나 사회 구조 및 지역 사회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문체를 연구하는 목적은 우리가 쓰고자 하는 글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데에 있다. 문체효과를 거두기 위한 방법은 참으로 무궁무진하다. 우리는 꼭 문체를 잘 연구하고 응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