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s and images of Picasso's muses, to extract the color chip from the works of Picasso, and to apply these results to fashion design. The study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 analysis of visu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ernande, who was cheerful and voluptuous, was depicted with pink-brown, a few browns, grey, black, white, and green and represents an ethnic and elegant image. Eva, a star-crossed lover, was depicted with a few browns, black, and pale-yellow and represents a gorgeous and natural image. Olga, who was jealous and sickly wife, was depicted with a few blues, browns and neutral-color and represents a classic and dandy image. Thérèse, who was innocent and sweet, was depicted with the bright and pastel colors of red, green, violet, and yellow and of white, blue, brown, and black and represents a romantic, pretty, and casual image. Dora, who was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challenging, was depicted with the strong colors of red, yellow, green, and blue, which are in contrast to black and also to white, grey and brown and represents a wild and dynamic image. Gilot, who was strong-willed and prideful, was depicted with the symbolic color of green, a color contrasting with black and white, grey, and pale brown and represents a clear, cool casual and modern image. Jacqueline, the self-giving and reclusive wife, was depicted with deep red, blue, green, black, white, dark brown, grey represents a formal, dandy, and chic image.
        5,500원
        2.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초에 에밀리 헤일에게 쓴 엘리엇의 편지가 공개되며 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헤일이 엘리엇의 뮤즈였는지, 그렇다면 그 정도는 어떤 것인지, 그리고 수십 년간 이어져 온 그들의 관계가 결혼으로 이어지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의문이 편지 공개를 통해 어느 정도는 풀릴 것으로 기대된다. 간접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공개된 편지에 의하면 헤일은 예상했던 것보다 강력한 엘리 엇의 뮤즈였으며 작품에 끼친 영향 또한 상당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들이 맺어지지 못한 것은 두 사람의 성향이나 추구하는 가치에 차이가 있었고, 엘리엇이 헤일의 역할을 문학적 영감의 원천으로만 한 정한 데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헤일은 엘리엇과의 관계에 대해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결혼을 기대한 것이 드러난다. 이 글에서는 그들의 맺어지지 못한 사랑이 엘리엇의 작품에서 어떻게 원재료로 쓰이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엘리엇이 개인적 측면에서 한계를 설정했던 헤일과 의 관계는 그의 문학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매우 풍부한 소재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황무지』의 히아신스 소녀, 「눈물 흘리는 소녀」 의 주인공, 그리고 『재의 수요일』의 숙녀, 「번트 노튼」의 장미 정원의 소녀는 모두 헤일을 연상시키는 인물들이다. 하지만 동시에 엘리엇의 작품 속에서 헤일과 그녀와의 관계는 특유(特有)함과 구체성을 결여하여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