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 ‘My heart’의 기내증식과 기외이식 후 생장에 있어서 배양용기에 부착한 미세공극 Filter 처리가 건전한 유묘를 생 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미세공극 Filter는 환기구 크기별로 White filter type (50.0 mm×3.5 mm)과 Green filter type (50.0 mm×7.0 mm) 으로 구분하여 밀폐 처리와 비교하였다. Shoot tip 배양에 있어서 Green filter type에서 shoot 분화율이 75%로 White filter type 77% 와 밀폐처리 80% 보다 낮았지만 투명화 shoot 발생율은 4% 로 White filter type 13.4%, 밀폐처리 24.7%에 비하여 9.4- 20.7%가 적었다. 전체 배양묘의 54.9%가 투명화 발생이 되 었을 때 Green filter type으로 90일 동안 계대 배양하고 조사 한 결과 투명화율은 11.8%로 감소하였고 분화한 shoot 수는 89개에서 915개로 증가하였다. Filter type에 따라 IBA 2.0 mg·L-1를 첨가하여 30일 동안 배양을 하였을 때 Green filter type에서 기내 발근율 100%, 뿌리 수 7.3개, 엽수 10.0개로 White filter type과 밀폐 처리보다 좋았다. 기외 이식하고 15 일 후의 유묘 생존율도 Green filter type에서 100%로 다른 처 리에 비하여 1.5-29.5% 더 높았고 초장이 11.0cm, 생체중이 1.7g 으로 가장 양호하였다. 미세공극 Green filter 처리는 포 도 ‘My heart’의 기내배양에서 shoot 투명화를 감소시키고 shoot와 뿌리 생성을 촉진시키고 기외이식 후 생장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어 건전한 유묘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The multi-layer combination provides a very narrow pore size distribution in a specific pore size range. By utilizing the multi-layer design equations developed for each individual layer of known pore properties,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multi-layer microfiltration media precisely to a tailor pore size distribution.
공극구조 분석 방법은 ASTM C 457의 리니어트레버스 포인트카운트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분석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고 있다. 근래에는 현미경과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의 프로그램 발달로 화상분석법이 많은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분석법을 통하여 라텍스개질 콘크리트의 공극 구조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멘트 종류(보통포틀랜드시멘트, 초속경시멘트)와 라텍스 혼입율(0,15%)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라텍스는 경화 후 콘크리트에서 AE제의 공기연행효과보다 더 우수한 연행공기 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상분석법을 이용할 경우 경화 후 콘크리트 내부 공극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를 다량 치환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능에 미치는 미세공극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콘크리트는 용선예비처리슬래그가 포함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0, 40, 70 % 치환하여 제조하였으며 압축강도 특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과 미세공극을 검토하였다. 또한 설계기준강도와 목표공기량을 설정하고, 동결융해 작용에 따른 열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령 14일의 낮은 압축강도로 인한 내력저하를 유도하였다. 실험결과, 설계기준강도를 유사하게 설정하고 목표공기량을 확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분포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GGBS70 시험체는 동결융해를 받지 않은 초기 0사이클에서 10~100 nm 크기의 공극량이 가장 적어 공극 내 동결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시험체에 비해 동결팽창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동결융해 저항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