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영국 모더니즘 최고 시인 엘리엇과 프랑스 상징주의 최고 시인 발레리의 1926-1929년 사이의 관계를 전기비평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주로 『T. S. 엘리엇의 서한집』 3권 (2012)과 4권(2013)에 수록된 서신들에 나타난 『크라이티어리언』 편집인 이자 페이버앤가이어 이사인 엘리엇이 1927년 런던의 리셉션 식장에서 발레리와의 짧은 조우로 불쾌한 감정을 느꼈지만, 발레리의 친구 윌리 엄 맥코즈랜드 스튜어트와 스튜어트의 친구 토마스 맥그리비의 발레리 산문과 운문 번역문 출판에 크라이티어리언출판사 대신에 페이버앤가이어, 호가스출판사, 조나산케이프출판사가 협조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 면서 중재하고 있다. 엘리엇의 서신을 통한 집요한 노력 덕택으로 맥그 리비의 번역본 『레오나르드 다빈치 방법 입문』이 1929년 존 로드커에서, 스튜어트의 번역본 『건축가 에우팔리노스』가 1932년 호가스출판사 가 아닌 옥스퍼드대출판부에서 출간된다. 요컨대, 4년 기간에 걸친 엘리 엇과 발레리 번역가들, 호가스출판사의 레너드 울프 출판인, W. B. 예이츠와 엘리엇의 상호 친구인 토마스 스터지 무어 시인이자 비평가 및 기 타 문인들과의 수많은 영불(英佛) 서한들은 특히 발레리 작품의 세계적인 보급을 위한 영역(英譯) 출판에서 엘리엇과 발레리 이 두 거장들의 신뢰할 만하고 존경스런 우정을 강력히 제시하고 있다.
        2.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영국 모더니즘 최고 시인 엘리엇과 프랑스 상징주의 최고 시인 발레리의 1920-1925년 사이의 관계를 전기비평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주로 『T. S. 엘리엇의 서한집』 1권 (2009)과 2권(2009)에 수록된 서신들에 나타난 『크라이티어리언』 편집인 엘리엇이 발레리의 「뱀」(1922)의 마크 워들 번역시를 출판인 리처드 콥든-샌더슨과 후원자 로더미어 여사의 협조로 1923년 동지(同誌)에 최초로 출판하고, 이어서 워들의 번역시와 엘리엇의「뽈 발레리의 기법 소서(小序)」가 수록된 『뽈 발레리의 뱀』(1924)의 출판에 사무적으로 중재 하고 있다. 엘리엇의 『황무지』(1922)에 대한 발레리의 호평은 발레리의「영혼과 무도(舞蹈): 소크라테스의 대화술」(1921)에 관한 엘리엇의 혹평과 극명하게 대조된다. 찰스 휘블리와 존 헤이워드는 엘리엇과 발레리의 상호 절친한 친구들로서 그들의 존경스런 우정을 강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요컨대, 6년 기간에 걸친 엘리엇과 발레리의 수많은 영불(英佛) 서한들은 엘리엇과 발레리가 편집인-투고자 관계로부터 예찬할만한 거장들의 국제적인 우정에 이르기까지 상호 강력한 영향력을 시사하고 있다.
        3.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엘리엇은 매우 포괄적인 시인이다. 그는 겉으로는 자신의 선배시인이 나 비평가를 맹렬하게 공격하는 듯해도 실제 그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 우고 빌렸으며 이를 자신의 몰개성 시론에 적극 활용하였다. 프랑스 상 징주의자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겉으로는 그럴듯하게 그들의 영향 력을 가렸지만, 시의 자기충족성이나 시어의 기능, 그리고 시인의 임무 나 역할과 같은 중요한 이론과 개념에서 많은 부분을 수용했다. 엘리엇 의 몰개성 시론의 가장 근본이 되는 개념을 발레리와 말라르메가 그들 의 이론에서 이미 예견하고 실행하였으니, 시는 자동성을 가진 몰개성 적 존재이며, 창작의 과정은 인간이 노동력을 매개로 여러 파편을 융합 하여 유기적이며 와해될 수 없는 총체적 존재를 만드는 것이고, 시어는 대중의 언어를 차용한 탓에 근본적으로 몰개성적인 것이며, 시인은 그 스스로가 보편인류를 대변하는 대행자라는 개념은 모두 엘리엇의 시학 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비록 엘리엇이 시어와 시인의 역할 부분에서 이들과 거리를 두게 되었으나, 시의 자동성을 예술의 자기충족성으로, 상징의 몰개성적 특성을 객관적상관물로 전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시인 으로부터 시의 독립성으로 나아간 데에는 이 두 상징주의 시인의 영향 이 지대하였음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