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multiple hop test is an active performance test that has been commonly used to assess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sufficiency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passive stability during dynamic activities can have an influence on performance in the multiple hop test. However, no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and ankle bracing on multiple hop test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mediate effects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versus ankle bracing in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le hop test for participa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thods: Twenty-nine participa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who scored below 24 in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group (n1=14) and an ankle bracing control group (n2=15). The multiple hop 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applying each intervention.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was performed using visual-feedback-based balance-training equipment; participants in this group were asked to perform a heel raise in a standing position while watching the centering of their forefoot pressure to prevent excessive ankle inversion. Ankle bracing was applied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When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period for both groups, both methods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hop test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and ankle bracing groups (p>.05). Conclusion: Both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and ankle brac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2.85 seconds and 2.05 seconds, respectively) in test performa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long-term effects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training and to determine whether insufficient dynamic postural stability is a causative factor for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4,000원
        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발의 강직성 저측굴곡으로 인하여 무릎이 과신전된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발 보조기 착용이 무릎 각도와 독립적인 보행거리에 미치는 영향과 COPM을 이용하여 아동의 보조기 착용 전후의 작업수행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실험은 개별실험연구의 반전연구 ABA' 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총 18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A에서는 발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고 무릎각도와 독립적인 보행거리를 측정하였고, 캐나다작업수행측정을 실시하여 보조기 착용 전후의 작업수행의 수행도와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치료기간인 B에서는 보조기를 아동에게 착용하게 한 후의 무릎각도와 독립적인 보행거리를 측정하였다. 기초선 A'에서는 보조기를 제거한 후의 무릎각도와 독립적인 보행거리 및 작업수행의 수행도와 만족도를 보호자에게 재실시하였다. 무릎각도와 독립적인 보행거리를 평균과 시각적 분석을 이용하였고, 작업수행의 수행도와 만족도는 COPM의 점수 비교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아동의 무릎각도는 보조기 착용 전후에 평균 11.63° 감소하였고, 독립적인 보행거리는 평균 6.97m 증가하였다. 아동이 혼자서 화장실 가기, 좋아하는 장난감을 스스로 가지러 가기, 공을 발로 차기 모두 보조기를 착용 하기 전보다 수행도와 만족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뇌성마비 아동의 발의 안정성이 아동의 보행거리뿐만 아니라 작업수행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수의 아동을 대상으로 보행거리와 아동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신감과 자율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