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랑곡나방 유충이 자유롭게 수직적 분포를 하도록 허용된 아크릴 실린더(지름 150 mm, 높이 85 mm, 현미 660 g 포함)에서 보리살이나 방고치벌 공격에 대응하는 화랑곡나방 유충의 행동반응을 용화장소 선택행동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없을 때는 화랑곡 나방 유충의 용화가 표층(< 5 mm)에서 이루어졌으나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존재하는 경우 유충은 더 깊은 층에서 용화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 치벌의 기주 탐색은 주로 표층에서(< 5 mm) 이루어 졌으며, 따라서 화랑곡나방 유충은 표층보다 깊은 층에서 용화함으로써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 유충의 용화 장소 선택은 기생자의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행동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유충의 방어 행동은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의 수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알려진 바대로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기주 유충 당 산란 수를 피공격 유충 수에 따라 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도 공격된 화랑곡나방 유충 수가 감소하면서 기주 유충 당 고치벌의 산란 수는 증가하였다.
        4,000원
        2.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주인 화랑곡나방 유충의 수직분산이 가능한 상황하에서 기생봉인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의 탐색 행동과 이에 따른 기주의 회피 반응을 살펴보았다. 수직으로 층(5mm 간격으로 7개 층)을 나눌 수 있는 직경 150mm의 원형 아크릴케이지 내에 현미를 채우고 기주인 화랑곡나방의 5령 유충을 여러 처리밀도(2, 4, 8, 16, 32, 64, 128)로 각각 투입한 후 3시간동안 자유분산을 유도하였다. 여기에 보리나방살이고치벌 1쌍을 각각의 처리에 접종하여 24시간동안 산란을 유도한 후 기생봉을 제거하였다. 기주의 수직분포는 밀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주로 최상위층에 집중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기생률도 밀도에 관계없이 최상위층에 집중되어 수직분포의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수직분포가 가능한 처리와 가능하지 않은 처리에서의 기생봉에 의한 기주탐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직분포가 가능한 처리가 그렇지 않은 처리보다 더 낮은 기생률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기생봉이 기주를 탐색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 (Hubner)) 유충에 기생하는 보리나방살이고치벌 (Bra-con hebetor Say)의 발육을 장일조건(16시간 광)의 5가지 정온 조건(17, 20, 25, 28 and 320.5)에서 조사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의 전발육기간은 온도가 17에서 32로 상승함에 따라 암컷과 수컷에서 각각 28.60.50일과 28.10.51일에서부터 9.30.09일과 9.20.09일로 감소하였다. 알의 발육은 32에서 지연되었다. 고치벌의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는 조합모형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0.99), 각 충태별 저온발육임계온도는 알, 유충, 번데기에서 각각 14.0, 12.8, 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경계역을 제외한 정상발육이 예상되는 저온한계는 각각 14.0, 17.5, 로 추정되었다. 타 충태에 비해 유충의 발육임계역이 넓은 것으로 추정됨으로써 유충이 타 충태에 비해 온도에 대한 감수도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고치벌의 발육과 온도와의 관계는 다른 지역에서 보고된 바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로 미루어 이 고치벌이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개체군과는 상이한 생태형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