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비음화[ㄴㄴ]와 유음화[ㄹㄹ]가 현실에서 각 계층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 다. 비음화와 유음화는 오랜 세월 서로 경쟁해 온 발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여러 연구들에서 예시로 제시한 복합어들 가운데 친숙한 어휘를 선정하여 두 음운 현상의 발음 빈도를 몇 가지 계층별로 나누어 입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음운 현상은 /ㄴㄹ/연쇄 3음절 한자어나 외래어로 된 복합어에서 일어나므로 한자어, 외래어, 고유어 등이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3음절어를 선별하여 어휘목록별 발음 빈도를 제시했다. 그리고 한자나 외래어에 익숙한 세대, 한자어에 익숙하지 않은 10대 청소년,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등이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비음화나 유음화 중 어떤 선택적 교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했다. 평소 친숙한 몇가지 어휘들이 이러한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현실 발음에서 [ㄴㄴ]발음과 [ㄹㄹ]발음으로 어떻게 서로 양분되어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In Korean, the onset constraints based on the sonority preference have the following hierarchy in the initial position of word : *ONS/RHO >> *ONS/LAT >> *ONS/NAS, and it offers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prohibition on word-initial lateral. However, *med[ONS/NAS dominates *med[ONS/LAT (and *med[ONS/RHO) in the middle of word.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in Korean are the phonological variation to equalize the sonority between the coda and its following onset according to *med[ONS/NAS >> *med[ONS/LAT without violating SYLLCON and IDENT-IO(cor/ant). However, this hierarchy cannot explain why both nasalization and lateralization are possible in case of /n.l/. To find out the reason, the phonetic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who speak Daegue dialect, one of Kyeongsang dialect that is considered a pitch language. According to the precedent studies, neutralization does not occur at the strong position. In case of /n.l/, when subjects pronounce the syllable with /n/ using higher pitch than the following syllable with /l/, the syllable with /n/ becomes a phonetically strong position. Accordingly, /n/ can not be pronounced as /l/ by lateralization and instead, /l/ of the following syllable is pronounced as /n/ by nasalization. If subjects pronounce the syllable with /n/ and the following syllable with /l/ with the same pitch, lateralization occurs. The pronunciation of /n.l/ can be explained by phonetically strong position, not by constraints hierarc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