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lobal e-waste problem is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China, as one of the largest producers and consumers of electronic products, still has a low formal recycling rate. Consumers, as the owners of waste electronics, are the key to successful reverse logistics. However, many choose to store or dispose of e-waste at home rather than use official recycling channels. While many previous studies focus on factors that encourage recycling, fewer examine what stops people from taking part. This study applies Valence Theo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crease consumers’ psychological resistance to recycling small e-waste in China’s first-tier cities. It also examines how these factors influence social value and resistance behavior. The research model includes perceived price unfairness, perceived inconvenience, perceived benefits, and information publicity, with social value as a mediato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303 residents in Beijing, Shanghai, Guangzhou, and Shenz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inconvenience and perceived benefits significantly influence social value. Perceived price unfairness, perceived inconvenience, and social value significantly affect consumer resistance. These findings expand the application of Valence Theory in e-waste research and address gap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y considering both perceived risks and benefits. Pract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manufacturers, recyclers, and policymakers should improve recycling facilities, make the process more convenient, ensure fair and transparent pricing, and create targeted measures to reduce consumer resistance and encourage participation in formal recycling systems.
        4,600원
        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위험지각이 대학생들의 화장품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하여 요인을 추출하 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요인별 상관관계와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 320부를 표본으로 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이 높을수록 감염의 두려움, 생활의 변화, 경제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시적 구매, 상표 습관적 구매, 합리적 구매 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의 변화가 많을수록 경제적 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상표 습관 적 구매, 합리적 구매 행동이 높아졌다. 감염의 두려움은 상표 습관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고, 감염의 두려움과 생활의 변화는 합리적 구매 행동에 영향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Kontos(2000)가 제안한 유소년 스포츠 상해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선행 연구의 일환으로 유소년 축구 선수들의 사회적 지지와 상해 위험 지각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소년축구 상해 발생률을 산출하였고, 총체적 사회적 지지 지작과 관계-구체적 사회적 지지 지각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 중재 요인이 상해 위험 지각 및 위험 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가한 C도 소재 초등 및 중학교 소속 남자 축구 선수 229명으로 모두 스포츠 상해 위험 지각, 위험 추구 행동, 사회적 지지 지각 등을 측정하는 유소년 축구 상해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누락 및 편향 반응을 보인 응답 자료를 제외한 216명의 최종 유효 분석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분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소년 축구의 상해 발생률은 1,000 노출 시간을 기준으로 .95건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구체적 사회적 지지 지각과 총체적 사회적 지지 지각은 독립적이다. 셋째, 감독과 코치의 지지 지각은 축구 상해 워험 지각에 부적 영향을 준다. 넷째, 총체적 사회적 지지 지각은 위험 추구 행동에 정적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