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perspectives of sociological understanding for criminal punishment. The basic stance of sociology of punishment is that we should consider social contexts under which penal policy and criminal justice activities are constructed and processed. This no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nological approach to the enterprise of crime control : it focuses on finding the best way to deter criminals from committing crimes and evaluating the most effective correctional programs and punishment devices. On the contrary, the sociology of punishment seeks to understand punishment within the broader social environments such as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account of the function of punishment, a main role of punishment is not confined in its instrumental purposes. It also serves as an indicator to represent the society itself. Based on this line of understanding, this article first clarifies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punishment in sociological terms and then introduces explanations for changes in forms of punishment suggested by Durkheim, Marxist penal sociologists and Foucault. Next, it reviews many empirical studies that consider social, economic, political contexts for explaining crime control practices such as impris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encourages further research adopting the sociological lenses in exploring criminal justice practices.
사회과교육은 민주적인 시민성 함양이라는 목적에 합의했지만, 이론과 실천의 부정합, 영역의 다양성과 모호성, 불가지론이나 무관심 등의 어려움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과 민주주의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자유민주주의’와 ‘전통적 시민성’은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성을 최소주의 입장으로 보면서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 권력으로부터의 자유, 국가와 시민사회의 분리 등 중립적인 입장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고정된 틀이나 사적인 선과 이익 중심의 개인주의 등은 극복할 과제였다. ‘참여민주주의’와 ‘참여적 시민성’은 사회과교육에서 이상주의적이고 최대주의적인 입장에서 실질적인 민주주의와 공동체적인 삶의 방식을 추구하였다. 참여의 과잉이나 동원의 문제는 한계로 지적되었다. 마지막으로 ‘심의민주주의’와 ‘성찰적 시민성’은 주체 간 상호성의 입장에서 쟁점중심교육, 다문화교육, 포스트모더니즘 교육 등에서 토론하고 성찰하는 사회과 시민성교육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지나친 절차주의나 상대주의에서 나타나는 비현실주의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