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trend of occupational accidents involving foreign workers. As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continues to increase, the risk of occupational accidents is also on the rise. Therefore, it is crucial to take proactive measures to prevent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foreign workers. To establish a common safety culture among foreign workers with varied background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nd which is harmonized with Korean workplace. Safety communication, which includes culture respect and participation in the workplac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and developing the safety culture of foreign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workplace employing foreign workers by analyz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ctors such as 'occupational accident awareness' and 'safety communication,' which constitute the safety culture at these workplace.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profic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in 'occupational accident awareness' using the validation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influence of‘safety communication’on‘occupational accident awareness’is β=0.339,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is influence decreases to β=0.113 when‘work proficiency’is introduced, indicating partial mediation.
        4,000원
        2.
        2015.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f-efficacy (one's perceptions of their capability to perform a task)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rk-related performance and motivation. For example, self-efficacy is known to have much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motivation, etc. As such it is important to know what factors collectively enhance the selfefficacy of employees, so that injured workers contribute to the organization they belong to after they come back to their workpl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uch industrial accident-related factors and extract rules among the factors in order to establish self-efficacy enhancement strategies for injured workers. In this study, a binary decision tree model for self-efficacy prediction was built using a panel data provided from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As a result, eight variables with the largest influence on self-efficacy were selected in the prediction model, and it correctly classified 70.1% of instances. The result suggests social support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offering paid time off such as vacation leave, sick leave and bereavement leave are important factors to enhance self-efficacy that will improve the work performance of injured workers.
        4,000원
        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mployees' corresponding types and casual analysis. It proposes the legal and practical measures for improvement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s usability.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indicate that (1) 91.4 percent of the respondents feel the necessity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2) 67.4 percent of the respondents perceive that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is useful, (3) employers’ perceptions of the specific items of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ppears to be low. (4) 35.9 percent of the respondents deal with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other ways such as health insurance and car insurance. The study ends with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provides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4,500원
        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산재요양 후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의 업무적응을 위해 개발한 작업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이를 위해 창원의 소형자동차 생산업체에서 6개월 이상 산재요양을 한 후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2005년 8월 1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할 실험군(18명)과 대조군(20명)은 노사협의를 통해 선정하였다. 실험군은 두려움-회피 신념 모델을 기초로 개발된 개별화된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하루 2시간씩, 주 5회, 약 8주간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기존의 방식대로 2주간을 적응기간을 거쳐 이미 복귀한 상태에 있었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군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두려움-회피 신념, 요통 장애, 시각적 통증 수준, Becks 우울 척도의 점수, 그리고 안전한 최대 중량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들 평가항목들에 대해 대조군의 평가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업무와 관련된 두려움-회피 신념(FABQ1-work), 요통 장애 수준, 시각적 통증 수준, Becks 우울 척도의 점수 및 안전한 최대 중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그리고 실험군은 평균 35.8(±6.4)일, 약 6~8주간 작업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이미 정상적으로 업무를 수행 중인 대조군과 대등한 수준까지 기능적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화된 작업강화 프로그램은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의 업무적응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므로 요통산재근로자의 조기 직업복귀 지원을 위해 작업강화 프로그램 도입이 정책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6.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인간작업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을 이론적 틀로 하여 개발된 근로 자역할인식 면담도구(Worker Role Interview: WRI)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용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WRI를 이용한 면담조사를 준비하기 위하여 2006년 9월부터 12월까지 WRI Version 9.0의 매뉴얼을 한국어로 1차 번역을 실시하였고, 감수와 수정 과정을 통하여 면담조사 권장질문지와 점수표, 판정기준을 마련하였다. 면담조사를 위하여 작업치료실이 있는 3곳의 산재전문병원을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였고, 그 중 한 곳에서 직업복귀 가능성이 있고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산재 환자를 소개받아 2007년 2월 27일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WRI의 평가결과는 최소 17점에서 최대 68점으로 점수화 할 수 있는 데, 클라이언트의 평가 결과 총점 48점으로 전체적으로 직업복귀에 부정적인 측면 보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적 사유나 자신의 직업에 대한 가치, 흥미와 관련되어 있는 의지 영역에서 직업복귀를 강하게 지지하는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클라이언트의 직업복귀에 대한 동기가 강하므로 직업복귀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 하에 재활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인간작업모델이라는 새로운 작업치료의 패러다임을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간편한 면담평가도구로써 WRI는 심리적, 사회적, 환경적 변인을 통한 직업복귀의 가능성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작업치료사가 환자의 기능적 손상이나 장해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환자를 이해하고 접근하여 성공적인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 다.
        4,200원
        7.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ient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du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st regulations did not give direct roles and duty to client in construction industry.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construction workers wh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s, the clients and constructors chose contractor the most. Safety managers and supervisors chose client the mo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afety and health centered on the client in order to prevent fundamental disas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