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이츠의 새가 등장하는 시에서 그의 시간관과 역사관을 우리는 엿볼 수 있다. 그의 신비주의, 아일랜드의 전설, 신화 및 민담 등의 소재로 예이츠는 그만의 독특한 상징주의를 시 작품에 녹아낸다. 통상 상징의 대조적 개념으로 이해되는 알레고리는 교훈적이거나 풍자적인 또는 의인화된 이미지와 뜻으로만 국한되는 경향이 있는데, 예이츠의 상징을 알레고리의 요소로도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신화와 고고학적 이미지로 예이츠 시에 등장하는 백조와 매를 이해할 수 있고 예언적이고 불멸의 성질을 지닌 공작과 수탉의 이미지도 살펴볼 수 있다. 상승과 하강 그리고 공중과 비행을 나타내는 대부분의 영시와는 달리 예이츠는 가이어와 큰 수레바퀴라는 자기만의 독특한 역사성과 신비주의와 함께 신화적 요소의 인유법을 통해 시 세계를 구축한다. 이 과정은 특정 이미지를 끊임없이 또 다르게 말하는 알레고리로 사유하여 다양한 상징의 결과물을 내놓는다.
Even if people living well-being need more green space and green experience in urban area, there is not enough open space like trees and forests. It may be caused by which the image elements of city are focalized only on physical elements like buildings, structures, etc. since Lynch's 'the image of the city'. This study tries to create new green image elements instead of the physical city image elements of Lynch style. For making new green elements it is used symbol, image, and meaning of trees abtained from results of reviewing in arts, music, religion, literature, myth, etc.
The 5 new green image elements are water, isolated trees, green corridors, forests, and forest cultural event. Water is origin of all green lives, isolated trees are natural monuments(trees) and big trees, green corridors are street trees and green way, forests are woodland in city, parks, and village forests, and forest cultural event is events related to forest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