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drivers’behaviors and car movements between drowsy driving conditions and normal driving.
METHODS: This study analyzed behavior data from 32 participants and the related car movement data in a field test under drowsy driving and normal driving conditions. Acquired data were closed-eye time, distance between the test car and the left lane, distance between the test car and the right lane, driving speed, video clip of the driver’s face during driving, and so on. A total of 30 samples for drowsy driving and normal driving were selected once errors had been excluded.
RESULTS: There were three factors that differed between drowsy driving and normal driving conditions: closed-eye time, distance between the test car and the left lane, and distance between the test car and the right lane.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vary significantly between drowsy driving and normal driving conditions that can be useful for detecting drowsy driving. Future studies should be designed with these results in mind, further considering, age, type of road, study site, and so on.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변수와 성과 간의 다양한 관계를 아시아 상황에서 검증하고자 한국과 태국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와 조직몰입(감정몰입과 근속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 봄과 동시에 조직몰입과 조직성과(이직의도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과 함께 변수간 관계를 좀더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구조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역할 모호성이 역할 갈등보다 변수들 간의 관계에 있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역할 모호성은 감정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에서는 역할 모호성이 근속몰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갈등의 경우 감정몰입이나 근속몰입에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감정몰입이 역할 모호성과 직무만족 사이에 그리고 역할 갈등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아시아 국가에서의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경제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낙관적인 견해가 실제 투자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Zuckerman(2009)은 헤지펀드 매니저들조차도 집권정당에 따라 투자패턴을 달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미국경제의 불안정한 움직임에 따라 일부 헤지펀드 매니저들은 미국경제에 대한 회의감으로 주식시장에서 관망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정부정책이 경제회복으로 이어질 수있을 지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비관론자 성향의 일부 헤지펀드 및 뮤추얼펀드 매니저들은 펀드매니저들 평균보다 못 미치는 성과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지지하는 정당이 집권하였을 때, 개인투자자들은 경제의 불확실성(uncertainty)이 줄어들고 주가도 상승할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성향은 개인투자자들이 지지한 집권정부가 들어섰을 경우 실제로 주식투자 규모를 늘려가는 상황을 만들며, 소형주(small cap)를 비롯하여 가치주(value stocks), 경기민감주 등에 대한 투자규모를 늘리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새로운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어 새로운 정부의 집권 초기에는 이들 개인투자자들은 주식보유기간을 보다 길게 가져가려는 경향도 보인다. 반면에 개인투자자들의 경우 자신이 지지하지 않은 집권정부가 들어섰을 때 경제의 불확실성(uncertainty)이 증가한다고 판단하여 보유주식을 처분하려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는 Hirshleifer(2001)과 Kumar(2009a) 등이 있으며, 국제 포트폴리오를 하는 미국의 개인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의 증가에 따라 국외 주식들을 처분하고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인하여 미국 내의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려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