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연구들에서 rutin과 quercetin을 포함한 여러 flavonoids의 암예방 활성이 보고되었으나, rutin의 경우 섭취 시 체내에서 HVA, HPAA, DHT라는 대사체로 변형되어 흡수된다. 그러나, 이들 대사체와 관련한 암예방 효능 및 그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작에 대한 연구 결과는 보고된 바가 없어, 본 연구에서 이를 규명하였다. DHT는 EGF로 유도된 세포 변형을 억제하였으며, AP-1 전사인자의 활성 또한 억제하였다. DHT는 Raf-1 효소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므로서 MEK 및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Raf-1과 ATP는 비경쟁적으로 직접 결합하여 Raf-1 효소 활성을 저해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rutin은 EGF로 유도된 세포 변형, AP-1 활성, ERK 신호전달체계, Raf-1 효소 활성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DHT의 암예방 활성이 발암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Raf-1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 변형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체세포 핵이식은 형질전환 복제 동물 생산과 더불어 그에 따른 바이오 신약의 개발, 장기 생산 등 많은 장점이 있지만, 여전히 체세포 핵이식 동물의 생산성은 임신율이 낮고 비정상 적인 개체의 탄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로 핵이식에 사용되는 공여세포가 다시 수정란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후생학적 역분화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체세포가 유도만능 줄기세포로 역분화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리프로그래밍 전 사인자 (Oct4, Klf4, Sox2와 c-Myc, OKS-M)의 도입과 더불어, 후생학적 변형에 관련된 억 제제 trichostatin A(TSA), 5-aza-20-deoxycytidine(5-aza), GSK-3 inhibitor와 MEK inhibitor (2i)가 복제 수정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젖소 귀 세포에 전사인자 Oct4, Klf4, Sox2와 c-Myc을 도입하였고, 배양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세포크기가 작아짐 (11.72± 3.39, 8.42±4.95, p<0.05)을 볼 수 있었으며, RT-PCR을 통하여 8개의 콜로니 중 4개의 콜 로니에서 외인성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리프로그래밍에 관련된 내인성 유전자의 활성을 증 가시키기 위하여 HDAC 억제제인 trichostatin A (20 nM), DNA methyltransferase 억제제인 5-aza-20-deoxycytidine (10 μM), 줄기세포 분화 경로 억제제인 GSK-3 (3 μM) and MEK (1 μM)를 처리하였다. 4개 중 1개의 콜로니에서 내인성 유전자의 활성이 증가됨을 발견하였 다. H3K9/K14의 acetylation 상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체세포 핵이식의 분 할률에서는 somatic cells이 85.9±8.98%, OKS-M 처리군이 82.0±4.97%, OKS-M을 도입한 체세포에 TSA, 5-aza, 2i 처리군이 각각 88.4±7.89, 75.3±8.10, 74.2±2.90%로 OKS-M과 TSA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분할률을 보였고, 배반포와 상실배기 까지의 발달률 은 somatic cells이 9.6±3.79%, OKS-M 처리군이 12.6±6.54%, OKS-M을 도입한 체세포에 TSA, 5-aza, 2i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11.1±6.87, 20.1±5.89, 9.5±1.53%로 OKS-M과 5- aza 를 함께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p<0.05) 가장 높은 발달률을 보였다. 따라서 전사인자의 도입과 후생학적 변형과 관련된 억제제의 처리는 소 복제 수정란의 발달률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억제제와 처리조건에 따 라 복제수정란의 향상을 위한 최적화된 방법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The origin of squamous cell components in salivary gland tumor has been not yet clarified in detail. The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from adenocarcinoma has been reported in various carcinoma by HPV transfection in vitro. The adenocarcinoma cells adjacent to the squamous cell carcinoma components were positive for HPV. This is thought to indicate that after adenocarcinoma cells are transfected with HPV, they undergo morphological changes, and that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HPV-16 E6/E7 gene transfection into SGT cell line from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an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E6/E7 gene and squamous differentiation. Plasmid pBR322 containing HPV-16 was transfected into cultured SGT cell line using lipofectin method. Hygromycin was used as a selection marker. The presence of HPV E6/E7, transglutaminase 1, and involucrin mRNAs and protein in E6/E7 gene transfected cells was investigated by RT-PCR and immunoslot blot method. The apoptosis index was analysed by flow cytometry. The growth rate of E6/E7 gene transfected cells was reduced. E6/E7 transfected SGT cells increased apoptosis index. Involucrin and TGase I mRNAs by the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was most conspicuous in the E6/E7 gene transfected cell compared with non transfected cells.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demonstrated in the transfectedSGT cell line, which expressed E6/E7 fusion gene mRNA.E6/E7 gene transfected cells showed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expressing involucrin and TGase 1 protein by immunoslot blotting. The transfected SGT cell which expressed E6/E7 gene mRNA showed the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particularly clearly, and apoptosis was also demonstrated. It suggested that E6/E7 gene transfection into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might induce clear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and contribute to study the pathogenesis of human salivary gland adenocarcinoma.
Cervical carcinoma is the 1st most common malignancy in korean females. HPV have been strongly linked to progression of cervical carcinoma. E6 and E7 as a small DNA virus encoding two major oncoproteins of HPV can act together to produce efficient immortalization of primary human epithelial cells, providing further evidence for the role of HPV in tumorogenesis. It is important to pursue the development of Immortalized human epithelial keratinocyte(IHEK) culture model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pathogenesis between cervical and oral carcinoma. If we establish IHEK transfected by E6E7 gene, IHEK will be accepted as a model system for HPV-linked cervical carcinogen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ulture primarily normal human epithelial keratinocyte(NHEK), and to establish IHEK for applying these results to cervical and oral carcinogenesis in the futu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7-9 passages, cultured NHEK was almost senesce and disappeared, but cultured IHEK showed most basal cell and monolayer of polyhedral cells under 0.05mM Ca++, while small area of stratification and flattened epithelial cells with irregular border under 1.2mM Ca++. 2. The cultured IHEK showed relatively resistant growth to high calcium condition. 3. The mRNA E6E7 in cultured IHEK by RT-PCR was detected. 4. During the terminal defferentiation in cultured NHEK and IHEK, increase of insoluble cornified cell envelope formation was accompanied with induction of TGase 1 activity. But the cultured IHEK showed less CEM and TGase 1 activity than those of cultured NHEK. 5. Cultured IHEK showed non-tumorogenecity, but week anchorage independence. From the aboving results, we have developed technique to transform NHEK into IHEK by transfecting cells with E6E7 gene. Cultured IHEK was established as intermediate stage cell for studying the pathogenesis of human cervical carcinoma.
후성유전학적 조절은 DNA 서열상의 변화 없이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현상을 뜻한다. 염색체의 후성유전학적 상태는 히스톤 변형, DNA 변형 그리고 RNAi에 의한 유전자 침묵 등에 의해 조절된다. 본 총설에서는 배아줄기세포에서의 후성 유전학적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히스톤(histone)의 메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배아줄기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조절에는 두 가지 단백질 복합체가 관여한다. Polycomb repressive c
단분화성 정원줄기세포의 장기간 체외배양 중에 확립되는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을 가져 3배엽성 세포로 체외분화가 가능하며 기형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outbred 생쥐(ICR strain)로부터 확립된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의 형질전환 가능성을 확인하며, 배아 내로 주입하여 유전적 키메라를 형성하는 효율을 배아줄기세포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분화능 정원줄기세포를 넣은 배아로부터 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