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대학 교수가 순천만 정원에서 개최되었던 국제자연환경미술제를 방문하면서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더 나아가 비평 활동 및 행위를 통한 작품과의 교감을 통하여 심미적 탐구를 함으로써 예술적으로 성장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감상자인 ‘나’는 예술작품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그 현장에 가서 작품이 완성되는 과정, 전시회 중에 감상한 경험, 사진 찍기 및 비평적 글쓰기 활동을 하였으며 특정 작품 앞에서 퍼포먼스를 하면서 작품들과 교감하고 비평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는 예술가/연구자/교육자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면서 지나간 기억, 자전적 이야기, 성찰, 해석 등을 통하여 예술 작품에 관한 감상/비평 경험을 심미적으로 탐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 년11월부터 2017년 2월 사이에 걸쳐 창작 과정에 관한 성찰 메모, 사진, 동영상, 작가의 방송 인터뷰 자료 및 자전적 기억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나는 예술 기반 연구방법으로 알려진 a/r/tography를 차용하여 예술적 감식안을 통해 작품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수양의 과정으로 성장하는 측면을 묘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생태와 예술을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에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2.
        2017.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통합적 경험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다채로운 숲 공간에서의 숲 사진 활동을 통해, 미적 요소에 기반을 둔 심미적 경험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 의미와 교육적 가치를 연구해 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숲 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24주간 24회에 걸쳐 유아의 숲 사진 활동을 진행 하였다. 모든 유아는 숲 사진 활동에서 각 2회씩 사진을 찍고 찍은 사진을 통해 사진감상과 함께 이야기 나누기에 참여 하였으며, 활동순서는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법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는 ‘준비하기’를 거친 후 ‘관심가지기’, ‘사진 찍기’, ‘이야기나누기’, ‘확장 활동’ 순으로 진행하였다. 참여관찰과, 교사 및 유아 심층면 담, 비디오 녹화자료, 연구자 일지 등의 자료를 질적 연구의 주제범주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숲 사진 활동을 통한 유아의 심미적 경험은 ‘아름다움을 발견(탐색)하는 유아’,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유아’, ‘관계를 만들어가는 유아’로 유목화 되었고, 이러한 심미적 경험은 유아들에게 배려성, 타자성, 사회성, 공동체성 등을 포함한 조화로운 인성교육이 실현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3.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음악 교육의 본질은 심미적 경험에 있다. 심미적 음악 감상 수업은 전인 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며 창의적 인재 육성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강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음악 교육의 현실에 비추어 학생들에게 질적으로 심화된 음악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프로젝트 형 음악 감상 수업 모형을 개발한다. 교육과정에서 현대 음악 레퍼토리와의 접촉이 부족함을 고려하여 20세기 실내악 작품들을 제재곡으로 선정하고, 소리와 리듬에 대한 탐구에 중점을 두어 학생들이 음악의 개념 이해를 통한 예술적 체험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