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 완주군 용진면과 봉동면 인근 농가에서 마늘, 대파, 쪽파, 양파의 4가 지 작물에 피해를 주는 고자리파리 Delia antiqua (Meigen)와 씨고자리파리 Delia platura (Meigen)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고자리파리와 씨고자리파리의 채집은 월동용 상태로 채집하였고, 채집한 용 은 젖은 모래가 담긴 사육통에 넣어 항온실(24±2℃)에서 사육, 관찰하였다. 고 자리파리와 씨고자리의 구분은 용의 상태로 구분이 어려워 우화 후 성충으로 구분하였다. 고자리파리와 씨고자리파리 100마리당 우화 비율은 작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완주군 용진면 조사 지역 마늘의 경우 고자리파리가 75(±6.2)%, 양파 71(±3.6)%로 마늘과 양파에서 우점을 차지했으며, 씨고자리파리의 경우 대파와 쪽파에서 62(±2.0)%, 53(±5.5)%로 우점을 차지하였다. 봉동면의 고자리 파리 우화율도 마늘과 양파에서 66.7(±10.4)%, 79(±5.2)%로 우위를 차지하였고, 씨고자리의 경우 대파에서 55.7(±5.0)%로 우위를 차지하였다. 쪽파의 경우엔 고자리파리와 씨고자리파리가 48.7(±9.1)%로 비슷한 우점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 고자리파리가 선호하는 작물은 마늘과 양파였고, 씨고자리파리 가 선호 작물은 쪽파와 대파로 판단되었다.
        3.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유충의 피해가 차후 대두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생태형별로 조사하고 또 해충종합관리의 방안으로서 토양내 유기물함량, 토양의 종류, 피복등과 피해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콩 초생단엽의 피해로 영양생장이 지연되었는데 일장에 의해 유도되는 개화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인위적으로 적엽한 구 보다는 충접종에 의한 피해구에서 생육지연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초생단엽 피해 외에 지하 경.근부가 함께 피해를 받은 때문이었다. 생산량은 초생단엽이 25% 피해를 받은 구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콩의 출현속도는 무피복구에 비해 피복구에서 빨랐는데 투명비닐의 촉진 효과가 가장컸다. 식양토와 식토구에서 재배한 콩의 피해가 적었으며 토양내 부엽토 함량이 증가하면 출현속도가 빨라져 초생단엽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