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

        1.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안평대군이 주도하고 군신들과 안견이 참여하여 제작된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은 <몽유도원도>와 함께 조선 초기에 높은 수준을 이룩한 시화 제작의 전형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1442년에제작된이 시첩에는당대 문사들의 소상팔경시와 함께 소상팔경도가 그려져 있었으나 현재 그림은 산실되고 시문만 첩의 형태로 전한다.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 ≪비해당소상팔경시첩≫에 소상팔경도를 그린 화가는 안견으로추정된다. 안견은 조선초기에활약한 최고의 산수화가로 그가 이룩한 화풍은 당대는 물론 후대의 산수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현존하는 조선초기의 소상팔경도중 상당수가 안견의 전칭을 지닌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비해당소상팔경시첩≫제작의계기가된 남송寧宗의 팔경시 는 여러가지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있다. 남송영종의 팔경시 는팔경의순서에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며, 조선초기에 제작된 소상팔경도의 순서에 많은 영향을준 것으로 생각된다.안견이 그렸을것으로 추정되는≪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소상팔경도>역시 영종의 팔경시 의 순서를 따랐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그림 이후대의 소상팔경도에 많은 영항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초기의 소상팔경도중≪비해당소상팔경시첩≫과 가장 연관이 깊은 작품은 구幽玄齋 소장의<소상팔경도>로 생각된다. 그림의 순서와 화제의 표기 방식등이 유일하게 남송영종의 팔경시와 일치한다. 팔경이 개별적으로 독립된 작품이면서 하나로 이어지는 유기적인 구성을 보이는 점 에서도≪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 시의내용과도 부합한다. <소상팔경도>에 그려진 각 폭의내용도남송영종의 팔경시 를 비교적 충실하게 따라 그린듯이 크게 어긋남이 없다. 유현재본 <소상팔경도>는 북송대에서 명대에 이르는 李郭派 화풍의작품들과 많은 공통점이 있다. 아울러 소재와 표현에서 안견의 <몽유도원도>와도 유사성이 인정된다. 유현재본 <소상팔경도>는 안견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 소상팔경도를 충실히 임모하거나 방한 작품으로 생각된다. 조선 초기와 중기의 다른 소상팔경도 및 산수도 중에서 많은 작품이 유현재본 <소상팔경도>와 많은 연관을 보이는 것도 ≪비해당소상팔경시첩≫의 안견의 <소상팔경도>가 범본範本으로서 후대 작품에 미친 지대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앞으로≪비해당소상팔경시첩≫과 유현재본<소상팔경도>의 연관이 보다 분명하게 밝혀진다면 산실된 안견의<소상팔경도>에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으며, 안견의<소상팔경도>가 후대작품에 미친 영향 및 조선초기 소상팔경도의 전개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 이해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9,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