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의 관점에 기반하여 출산과 양육이라는 중요 한 시기에 지지체계 축소와 배우자의 불규칙한 양육 지원과 같은 자원 의 변화 상황이 여성의 출산과 양육 경험에 미치는 맥락을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배우자인 남편의 직장을 따라 부부 모두 무연고 지역에 이 주하였고, 배우자가 교대근무를 하고 있으며, 이주 지역에서 출산 및 자 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여성 3명이다. 심층 면담은 2022년 10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약 5개월간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주 후 여성들이 경험한 출산 및 양육 관련 자원의 역동은 총 4가지 범주인 ‘이주로 인해 손실 위험을 경험하거나 손실된 자원’, ‘지속적인 자원 손 실의 위협과 순환’, ‘자원 손실의 결과’, ‘조절과 적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출산과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을 둘러싼 환경 체계로 확대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와 교대근무 특성에 따른 출산과 양육 지원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8,1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을 주제로 수행한 질적메타종합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비혼모들의 복지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새로운 실천 아젠다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CASP를 활용하여 질 적 연구물 12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질적 연구물은 EAVS(2001) 에 의해 제기된 근거이론 종합방법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6개의 하위주제, 45개의 중심주제, 15개의 핵심주제가 도출되었다. 비 혼모의 출산, 양육 경험은 ‘자기 몫을 박탈당한 숨어있는 존재의 비혼모 가 연대와 자기 임파워먼트를 통해 가족의 삶을 구축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몫 없는 존재 유보와 심리 적 유폐, 사회적 연대, 경제적 자립, 자기존재의 성숙에 대한 논의를 했 으며 비혼모를 지원할 수 있는 제언을 하였다.
        8,400원
        3.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2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 자녀가 12개월 미만인 어머니 1인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참여관찰, 면담,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연구참여자의 육아일기 등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12개월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크게 세가지로 범주화하였으며, 첫째,「새 생명과 함께 하는 첫 걸음」은「자녀의 성장이 주는 경이로움」,「최고의 것을 주는 행복」,「우리 가정에 찾아온 보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힘겹지만 함께 걸어갈 길」은「아가, 너는 나의 전부」,「때로는 힘겨운 시간들」,「나란히 함께 걷고픈 사람」,「이제는 긴 담을 허물 시간」으로 범주화하였고, 셋째,「모두의 행복을 위한 새로운 걸음」은「미래를 위한 또 다른 시작」,「일 선택의 조건」,「마음 단단히 먹기」로 범주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