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proposed new method using FRP material for emergency earthquake recovery in a building, since the classical materials such as concrete and steel was difficult to construct and fabricate during and after an earthquak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FRP materials was much light and stronger in comparison to other materials. Therefore, the seismic performance of frame structures subjected to an earthquake, using precast GFRP-Corrugated infilled panel was conducted in this study.
        2.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주각부는 상부의 강구조와 철근콘크리트조 기초의 접합부로써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국내외 강구조 골조 공사에서 사용되는 주각부의 형식은 크게 구분하여 노출형 주각부 근권형 주각부, 매입형 주각부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부재의 재사용 및 재활용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면 노출형 주각부가 가장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출형 주각부의 시공 성능 및 역학적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형태의 강구조 선형상 노출형 주각부를 개발하고, 구조 성능 평가를 위한 탄소성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신형상 노출형 주각부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시공 오차를 현장에서 간단히 흡수하여 기존 노출형 주각부의 시공 불량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구조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에너지 흡수형 고력볼트를 사용함으로써 변형 성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스페이스프레임의 볼 조인트 접합부에서는 축부에 핀의 삽입을 위한 구멍이 존재하기 때문에 응력집중으로 인한 취성파단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접합부에서의 변형능력이나 에너지흡수능력은 낮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볼 조인트 접합부의 소성변형능력을 향상시키기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오차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볼트의 나사부나 핀부의 취성파단 없이 감소된 축부에서 소성변형능력이 기대되는 새로운 접합상세를 개발하였으며 수치해석과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치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볼트의 축부 및 핀부의 단면을 조절함으로써 기존 고력볼트보다 소성변형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duce the damage of critical frame structures such as hospitals and schools during and after an earthquake. this study develop the infill panel to allow smaller shear deformation with sliding of the specific element in the panel. As a result, the side swa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ructure with infill panel, in comparison to the steel frame structure without infill panel during the experimental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