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미숙과 복분자 추출물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을 위하여 지표성분을 ellagic acid로 설정하였으며, HPLC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국내 재배종 미숙과 복분자인R. occidentalis와 중국 재배종 미숙과 복분자인 R. chingii의 ellagic acid 함량 차이와 시험법 적용을 통해 원료의 상호대체 및 혼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추출용매별 ellag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5% 주정 추출물이 국내산과 중국산에서 각각 16.56 mg/g과 17.27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 종간의 함량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향 후 두 종간의 생리활성 비교 연구를 통해 생리활성물질인 ellagic acid 함량 유사성과 같이 두 종간의 생리활성 유사성 부분의 추가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분석법 검증은 특이성, 직선성, 정확성 및 정밀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표준용액의 피크유지시간과 spectrum이 미숙과 복분자 5% 주정추출물과 일치하여 특이성을 확인 하였다. 검량선의 R2은 0.9999으로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검출한계 0.25 μg/mL, 정량한계는 0.77 μg/mL였다. 회수율은 97.54-101.01%의 범위로 나왔고, 일내분석과 일간분석에서 상대표준편차는 국내산이 각각 0.54-1.30%와 2.23-3.15%, 중국산이 각각 0.48-2.21%와 1.57-2.79%로 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문헌에서 제시된 ellagic acid 분석법이 미숙과 복분자 5% 주정추출물에서의 지표성분 표준분석법으로 적합한 시험법임을 재검증하였고,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서 ellagic acid를 지표성분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국내산 미숙과 복분자인R. occidentalis와 중국산 미숙과 복분자인R. chingii의 수급 여건에 따라 상호 대체가 가능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