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원추각막을 시험렌즈로 피팅하기 위하여 개발된 Ecc Keratoconus Design 렌즈를 임상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원추각막으로 진단받은 58안(남자: 37안, 여자: 21안)에 대하여 렌즈 착용 전 및 착용 1개월 후 교정시력, 세극등 현미경검사, 자동각막곡률검사, 각막지형도검사(Oculus topographer 및 Orbscan pachymetry system) 및 자각증상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처방렌즈의 베이스커브와 각막의 곡률반경을 비교했을 때 약주경선 곡률반경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각막의 약주경선 곡률반경을 참고하여 처음 피팅할 시험렌즈의 베이스커브를 선정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적합한 피팅상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적합한 피팅상태를 얻을 때까지 피팅을 시도했던 횟수는 평균 2.9회였으나 실제 렌즈 교환 횟수는 1.9회였다. 시험용 렌즈의 디자인을 변경한 경우는 없었으며, 교정시력은 기존 렌즈보다 0.1 정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각적 착용감에 관한 설문 결과, 기존 렌즈보다 착용시간이 증가하고 착용감이 개선되고, 통증이 감소하며, 원거리시력이 개선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야간운전, 눈부심 및 근거리시력 역시 유의성은 없었으나 불편한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부터 새로운 렌즈를 피팅할 때 각막의 약주경선 곡률반경을 기초로 시험용 렌즈의 기본커브를 선택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피팅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임상성능이 개선된 것으로 사료된다.
원추각막은 비염증성 질환으로 각막중심부가 앓아지고 앞으로 돌출하여 고도의 큰 사와 부정난시가 유발되는 질환이다. 원추각막 환자에게 콘택트렌즈를 피탱하는 것은 곤본적으로 RGP 콘택트렌즈를 피탱하는 것과 동일하며, 잘못된 렌즈 피탱으로 각막 상처가 유발되어 원추각막의 진행이 더 가속화되는 경우도 있게 되므로 좋은 착용감, 좋은 시력, 각막의 건강이 잘 유지되는 피팅법이 종요하다. 원추각막 환자의 각막형 상은 형태도 다양하며 병이 진행됨에 따라 각막형상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 가들도 원추각막 환자의 콘택트렌즈 피탱을 어려워 하지만 이것은 도전해 볼반한 일 염에 틀림없고 콘택트렌즈 전문가의 궁극적인 목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원추각막의 진행정도가 다른 4명의 환자를 중심으로 유두형 원추 환자에는 4개의 커브를 갖는 three-point touch 디자인의 렌즈를, 난원형 원추환자에 는 비구면렌즈와 piggy-back design 의 렌즈를, 구형 원추환자에는 4개의 커브를 갖 는 apical clearance 디자인의 렌즈를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콘택트렌즈를 피팅한 임상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