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과 그에 대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그들의 직무역량 향상에 대한 정책 수립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9개 역량영역과 18개 역량군의 유치원 초임교사 직무역량을 도출하였다. 직무역량과 지 원의 중요도와 보유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최우선순위 직 무역량은 생활지도의 부적응지도, 생활지도의 생활습관지도, 교육과정운영의 교수활동으로 나타 났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지원요구가 높게 나타난 지원 사항은 양성과정에서의 실무연수 강화, 멘 토링, 입직 후 직무안내 및 교육, 교육활동을 위한 시간적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제언으로 첫째, 유치원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중요도에 비해 보유도가 낮은 원인을 분석 하여 직무역량 교육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최우선순위 교육 요구 직무역량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현장에서의 유치원 초임교사의 효과적인 입직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입직교육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직원 인력배치, 교 사경력단계별 적정학급규모, 근무시간에 대한 지원 요구도가 높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교원의 인 권보장에 대한 법리적 문제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2.
        2006.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임교사 모임을 통해 유치원 초임교사들이 이야기 하는 교직생활 내용은 무엇이며, 이러한 초임교사 모임이 그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기위한 것이었다. 초임교사 모임을 통해 유치원 교사들은 교수활동을 하면서 느끼는 막막함, 유치원에서 만나는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불만, 교사로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힘이 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 자신이 원하던 교육환경 및 교육방법과 이에 못 미치는 현재 유치원의 상황 등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한편 초임교사 모임을 통해 교사들은 이야기를 통한 동료지지, 정보공유를 통한 교수전략 교환, 동기와 자극을 통한 자신감 획득 등에 대해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임을 진행해 가면서 느끼는 모임의 한계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3.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 유치원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의 양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수도권 지역 공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직 경력 1년 6개월 이내의 임의 선정된 초임교사 10명은 각각 초임교사로서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쓰기를 하였다. 이야기 쓰기 이후에는 초임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면담 준거를 통해 3차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다. 면담 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녹음되었으며, 면담 과정중이나 면담이 끝난 후에 면담 대상 교사에게서 받은 인상이나 느낌은 간략하게 기록으로 남겨졌다. 이야기 쓰기와 교사 면담 및 현장 약기 이외에 초임교사의 어려움을 나타내 줄 수 있는 교사 개인의 일지, 일일 교육 계획안의 교사 평가가 기타 자료로 수집되어 연구 대상 교사에 대한 정보를 보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통합, 코드화, 분류, 해석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은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초임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유치원 교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 수업 준비 시간의 부족, 학급 운영 기술, 이론을 실제 수업에 접목시켜 전개하기,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동료교사나 장학 담당자, 학교 구성원과의 관계나 학교 문화에 적응하기, 교사로서의 심리적 부담감은 초임교사들이 처한 근무 환경이나 교사 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려움에 차이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