傳奇는 당나라 시기 裴鉶이 수집, 편찬한 괴이한 이야기들의 총집이다. 이 책에 는 총 31편의 당나라 시기의 괴담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 31편의 이야기는 중국의 다양한 지역을 공간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는 전기라는 책이 단일하지 않은 장 소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음을 의미한다. 즉 이 책에서 제시하는 공간적 배경은 당 나라 시기 괴담 서사의 발생 배경 및 그 시기의 주변성이 서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 쳤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기 각 편에 수록된 공간적 배경을 분석하기 위해 QGIS라는 디지털 툴을 사용한다. QGIS 프로그램에서 디지털 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기 각 편의 서사에서 고유한 장소명을 추출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현대의 좌표로 변환한 엑셀데이터로 만들어 낸 다음 QGIS에서 연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Q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당시의 중심지인 장 안, 또는 낙양으로부터 각 서사의 발생지까지의 거리를 구체적으로 계산해 낼 수 있 는데 이는 傳奇에서 수용하는 주변성이 위치한 거리를 실제로 도출해 내는 작업이 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전통시기 괴이한 이야기의 생성에 미친 지리적 정보를 정확 히 규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중국고전서사 연구에 디지털 툴을 융합적으로 활용하는 하나의 예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애드거 앨런 포의 소설 「아서 고든 핌 이야기」의 공간묘사에 대해 지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소설에 언급된 지리적 내용을 항해가 진행되는 시간 순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동시대에 간행된 지도를 통해 남극 탐사 자료를 인용하는 부분의 공간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셋째, 남극권을 넘어 항해하는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항해경로의 공간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넷째, 포가 활용한 지리적 자료의 출처와 인용 의도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소설의 말미에 언급된 남극의 하얀 장막과 지구공동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심스의 지구공동설과 모렐의 항해기를 모티브로 공간묘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