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공권력의 약화는 경찰 공무원의 인권과 복지에 영향을 준다. 이것은 결국 국민들 의 인권과 안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사회의 기초 질서가 무너지게 되면 결국 그 피해는 국민들이 보는 것과 같은 것이다. 우리나라 사회의 기초 질서는 경찰 공권력의 유지에 달려있다. 경찰 공권력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경찰 공권력은 매우 약화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에 선진국 진입을 앞둔 우리나라로서는 경찰 공권력 의 확립이 피할 수 없는 과업이 되었다. 법치국가로서 공정하고 엄격한 법 집행으로 사 회의 기초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가 공권력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경찰 공권력 확 립이 시급과 과제이다. 뿐만 아니라 경찰 공권력 확보는 경찰관들의 인권과 복지에 직접 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앞으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집회 시위가 급증할 것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본 연구는 먼저 경찰 공권력의 개념적 이해와 그 근거를 다루면서 오늘날 경찰 공권력의 약화 실태 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경찰 공권력의 근거는 바로 헌법에 기초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집회⋅시위에 대한 경찰 공권력이 약화되었고, 공무 집행 방해 범죄에 대하여 공권 력이 약화되었다. 경찰서나 지구대에서 행하는 언어적 폭언과 물리적 폭행을 보면 ‘과연 경찰 공권력은 존재하는가’ 라는 의구심마저 들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찰 공권력의 약화의 원인이 무엇이고 그 회복 방안이 무엇인지 제시하였다. 첫째는 잘못된 시위 문화 인식 때문이고, 두 번째는 경찰관 인력의 부족 때 문이다. 그리고 경찰 공권력의 약화의 세 번째 원인은 경찰 공무원의 근무조건과 처우의 문제 때문이다. 경찰 공권력 약화에 따른 대응 방안으로는 시민의 준법 정신 교육을 강 화해야 한다. 두 번째는 경찰 공권력을 세우기 위해서는 경찰 인력을 더욱 확충해야 한 다. 세 번째는 경찰의 근무조건 개선과 처우 개선이다. 마지막으로 엄격한 법의 집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