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속성인 성별과 전공에 따라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팔로우 및 관계유지 사이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소비자의 성별에 따라 패션 인플루언서를 팔로우함에 있어 동성편중을 분석하는 것이다. 패션 인플루언서의 특성은 전문성, 호감성, 유사성, 친밀성으로 구분하였으며 특성이 지속적인 관계유지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SNS를 활발히 사용하는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통계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카이제곱 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남성은 인플루언서의 성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여성은 여성 인플루언서를 유의미하게 팔로우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성별과 전공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전문성과 호 감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여성과 패션 비전공자는 친밀성 또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속적인 관계유지를 위해 전문적인 지식 전달과 함께 소비자에게 호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auty influencer attributes on Instagram and their impact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on influential difference between micro and mega influencer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sumer survey method with a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506 women in their 20s and 30s using Insta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ange of influencer attribute sub-factor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expertise, attractiveness, similarity, reliability, and intimacy. Second, the attributes highly impacted product attitude in the increasing order of attractiveness, similarity, reliability, and familiarity, with expertise hav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product introduced by the beauty influencer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urchase intention. Fourth, it was show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influencer’s number of followers. Fifth, the number of followers of the beauty influencer had a partial impact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age and gender samples are narrow, but it is nevertheless meaningful to explore this topic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beauty influencers. It is believed that these findings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influencer marketing strategies on Instagram.
Focusing on the emerging influencer market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priority of Influencer characteristics when the customer decided to purchase products through the promotion of influencers. Since the influencer marketing differs from the Online information source marketing, this study has an academic implication in that integrate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information 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NS contents.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on Information sources and Influencers,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were reconstructed and priorities were derived using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he upper layer of the AHP structure was set to expertise, trustworthiness, social attractiveness, and content attractiveness, and the lower layer structured the model with 13 subfacto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combining the importance of the 1st and 2nd classes, the detailed factors of expertise and trustworthiness, ranked from the top to six, are largely influenced in purchasing decisions in influencer marketing. Second, content attractiveness is the third rank in the 1st layer. Influencer marketing shows that content is more important than social attractiveness. Besides, the 7th to 9th positions of the overall rankings accounted for visual information, storytelling, and external attractiveness, which are the details of content attractiveness, and it is confirmed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influencer marketing to emphasize content attractiveness than social attractiveness. Although the influencer marketing differs from the existing information marketing, this study has an academic implication in that integrate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현 시대의 문화와 흐름에 맞춰 기업에서는 기존과 매우 다른 방식의 퍼스널 마케팅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 개인들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인플루언서를 활용하거나 소비자들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인스 타그램에서의 이용 동기가 인플루언서 속성 및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인플루언서의 속성으로 본 연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계정 및 게시물을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예시물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mos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용 동기의 자기표현 동기는 관계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정보이용 동기는 관계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 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핵심인 매개 역활을 하는 인플루언서의 속성인 매력성과 신뢰성이 자기표현 동기와 관계유지의 영향에 있어서 부분매개로 도출되었으며, 정보이용 동기와 관계유지의 영향에서는 완전매개로 도출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인하여 인스타그램을 통한 이용자들과 관계유지는 인플루언서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심리적인 동기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자신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행위로 콘텐츠를 재생산해내는 능동적 행위로도 해석할 수 있으며 이용자들의 설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속성으로 해석된다. 이는 인플루언서의 매력성과 신뢰성이 인스타 그램 이용자들에게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로 개인 소비성향이 강해지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로써 인플루언서 전략을 활용한 더 나은 소비문화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