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나무를 이용하여 화훼장식품을 개발하고 그 작품을 전시하였다. 대나무의 길고 굵은 가지를 교차시켜 현대적 디자인을 하고 그 사이에 식물을 고정시켜 작 품성을 높였다. 대나무 선단부의 긴 가지와 잎을 밀집 시켜 숲을 만들고 그 속에 안정감 있는 분화류를 배 치하였다. 대나무를 세로로 잘라 기둥을 만들고 그 선 단부에 대나무 용기를 부착시켜 식물을 심었다. 대나무 기둥의 움직임에 의한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대나무의 잔가지들을 서로 엮어 면을 만들고 그 면에 식물을 매 달아 벽장식 작품을 구성하였다.
        4,000원
        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장식에서 프레임 디자인 작품의 교육과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부 산, 대구, 경기, 광주에 장식된 프레임 디자인 작품 120개를 대상으로 동사적 표현기법의 적용실태와 기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25개 이상의 작품(20.8%)에 사용된 기법에는 세우기(44.2%), 연결하기(42.5%), 둘 러싸기(28.3%), 묶기(27.5%), 덧씌우기(20.8%), 엮기 (20.8%), 교차시키기(20.8%), 조립하기(20.8%)가 있었 다. 작품 당 사용된 동사적 표현기법의 수는 42.5%의 작품에서는 5-7개가, 31.7%의 작품에서는 2-4개가, 23.3% 작품에서는 8-10개가, 2.5% 작품에서는 11-13 개가 사용되었다. 작품에 적용된 기법 중 빈도수가 높 은 세우기, 연결하기, 교차시키기, 묶기, 덧씌우기, 감 싸기는 서로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프레 임 디자인을 이용한 작품 제작이나 교육 등을 위해서 는 이들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4,000원
        3.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생식물 전문업체 2곳과 화훼유통단지 3곳의 21개 업체를 대상으로 유통되고 있는 수생식물의 종류와 용도를 조사하였으며, 수생식물이 사용된 화훼장식품 130개를 대상으로 종류별 사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수생식물은 82종이었다. 이중 물가수생식물이 36종(43.9%), 부엽성 수생식물이 16종(19.5%), 침수성식물이 18종(21.9%), 그리고 부유성식물이 12종(14.6%)이었다. 수생식물의 대부분은 분화와 정원용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22.9%만이 절화용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수생식물 가운데 19종이 화훼장식품에 이용되고 있었으며, 속새, 연꽃, 부들, 갈대, 수련, 타알리아가 전체 작품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수생식물 소재 중 53.9%는 절지의 형태로 화훼장식품에 사용되고 있었고, 절화와 절엽은 각각 24.6%와 21.5%를 차지하였다.
        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훼장식품 해석의 다양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동(動)', '숲속에 내리는 비', '낯설음' 이라는 각각의 원제를 지닌 화훼장식품을 가지고 작품의 제목, 외관, 그리고 소재에 대한 감상자의 시각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감상자가 부여한 제목은 3작품 모두 대부분 작가의 의도와는 무관하였다. 각 작품에 대해 감상자가 부여한 이미지 제목을 이미지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촉각, 미각, 후각, 청각, 공감각 순이었다. 외관에 대한 감상자의 시각을 이미지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역시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관념, 공감각, 자연물 등의 순이었다. 작품의 소재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시각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자연물과 관념의 이미지가 높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동일한 화훼잘식품에 대해서도 감상자들의 시각은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예술의 보편적 특성 가운데 작품의 의미 전달과 해석의 다양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작가와 감상자간의 소통 및 작품의 해석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