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제방의 취약성 변화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상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여 홍수위를 구하고 제방의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침투거동을 분석함으로써 침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대표 제방을 선정한 후, 대표 제방의 현재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위를 고려하여 제방의 안전율을 분석하였다.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제방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제방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본 연구자가 기 개발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값을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iver levees along the state owned rivers or local rivers are a major infrastructure of the nation, a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evaluate the safety of each structure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flood or earthquake, so as to enable preemptive disaster response. In this study, a “real-time safety assessment method of river levees” was developed to understand the safety of river levee in real time and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preemptively and effectively, and its applicability was examined. The real-time safety evaluation method of the river embank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wo systems; ① real-time monitoring system by instruments and ② safety evaluation DB system of river embankment based on fragility curves using numerical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validate its applicability, the safety of Munsan levee located in the upstream area of Kangjeong-Goryeong Weir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3.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o-structures such as levee and cut slope contain uncertainty in soil properties. Therefore, a probabilistic analysis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soil properties is required. In this study,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of levee and cut slope has been performed.
        4.
        200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천제방의 붕괴 요인중 구조물(배수통문) 주변 제방의 붕괴는 전체 요인의 l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2002년 홍수시 낙동강에서 발생한 제방 유실 지점은 거의 배수통문 주위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제방 파괴는 이질 재료인 통문 구조물과 제체 접합부 사이에 공극이나 공동이 형성된 후 홍수시 내부 침식으로 인해 공동이 확대되어 발생하는 파괴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천제방의 안전관리를 위해 배수통문 주변의 공동발생 여부 혹은 공동내의
        5.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규모 충적하천의 안정 하폭 및 수심의 결정기법인 Cheema 등의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이 기법은 기존 방법과는 달리 제방의 일체 파괴와 전단 파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실제 하천의 관측 자료에 적용시켜 본 결과, Cheema등의 방법은 50m이하의 하폭을 가진 충적하천일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했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된 방법은 하폭 200m이내의 충적하천의 안정하폭 및 수심을 양호하게 산정하였다.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