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regarding the fourth and fif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By analyzing the newspaper articles in five major newspapers in Korea, w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ducation in each period.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2)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and 3)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se previous curricula on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During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fter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1986 Asian Games and the 1988 Summer Olympic Games in Seoul,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ly, the need for early English education emerged. In the fifth curriculum, various social factors, including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led positive washback effects on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English instructions were conducted as a special activity. In secondary schools, various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involved,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listening tests and recruitment of native English teachers, which still affects English education in 2020. This paper concludes with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지금까지 살펴 본 국민 학교 컴퓨터 교육의 현황은 크게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의 측면, 교사 연수의 측면, 시설 확보의 측면 그리고 교재 개발의 측면 등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라본 제5차 교육 과정에 의한 국민 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 정리 될 수 있다. 1. 교육 과정이 체계화 되어 있지 않고 학년별 지도 내용과 지도 요소가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2. 컴퓨터의 주변 기기의 절대적 부족과 16bit 컴퓨터의 보유가 저조하다. 3. 16bit 컴퓨터에 대한 교원 연수가 미흡하다. 4. 학생들이 컴퓨터를 실습할 기회와 시간이 부족하다. 5.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부족하다. 6. 컴퓨터 교육을 담당할 전문 교사가 절대 부족하다. 7. 학생들의 수준과 단계에 맞는 컴퓨터 교육용 교재가 풍부하지 않으며 그 내용이 지나치게 프로그래밍 작성에 치우쳐 올바른 컴퓨터 소양을 길러주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8. 시설, 장비, 운영 관리를 위한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 체제가 미흡하다.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본래 논리적인 체계보다 심리적 원리를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실생활에서 전이가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일상 생활에서 학습활동의 소재를 취한 것들이 많아서 논리적으로 만족할 만한 체계화를 기하기에는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에서 시도한 바와 같이, 제한된 부분에서나마 유사한 지도내용끼리 관련을 짓고 학년을 달리하여 심화 확장되어가는 모습으 추적하여 체계화하는 작업은 미흡한대로 다음 세 가지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