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완전융합제거사위와 주시시차곡선에서 얻어진 3가지 변수(일부융합제거사위를 의미하는 x-intercept, 주시시차를 의미하는 y-intercept, 주시시차 곡선의 기울기)를 구하여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얻어진 데이터로 각 type별 수평과 수직주시시차를 그려 곡선의 양상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이 없고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20~30대 91명을 대상으로 근거리에서 강제vergence 주시시차를 측정하였고, 주시시차는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를 이용하였다. 결 과: 근거리 주시시차 곡선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type III>type I>type IV>type II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인 유형별 수평과 수직주시시차곡선도 얻었으나 전형적인 곡선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가 너무 적거나, 검사값이 불안정한 type II, type IV을 제외하고 실시한 type I, type III에 대한 기울기, 완전융합제거 사위, 일부융합제거사위, 주시시차와의 상관성을 살펴볼 때, x-intercept인 일부융합제거사위는 완전융합제거사위와는 r=0.692, p=0.00로 가장 상관성이 높았고, y-intercept인 주시시차하고는 r=0.539, p=0.00로 두 번째로 상관성이 높아 근거리 주시시차(y-intercept)와 일부융합제거사위(x-intercept)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수직주시시차곡선은 수평주시시차곡선보다 매우 가파른데 좁은 융합력 때문으로 사료된다. 결 론: 강제vergence 주시시차곡선을 얻었고, 일부융합제거사위와 완전융합제거사위와, 일부융합제거사 위와 주시시차가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수직주시시차곡선은 수평주시시차곡선보다 매우 좁은 융합폭을 나타내었다.
        4,800원
        2.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d the fixation disparity curve parameters obtained with the Wesson fixation disparity card,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to those of the Saladin fixation disparity card, a new device. We measured the fixation disparity parameters for 36 subjects who were in their twenties(average 22.39±1.98 years old) who had a monocular best-corrected visual acuity of 18/20 or better, had no strabismus as determined by cover test, had no vertical phoria by the Maddox rod method, and had no ocular history. The x-intercepts were shifted in the base-in direction with the Wesson card than Saladin card( -3.58±3.2, p = 0.000), the y-intercepts were shifted in the exo direction with the Wesson card than the Saladin card( -5.44±6.0, p = 0.000), the slope of fdc with the Wesson card was steeper than the slope obtained with the Saladin card( -1.02±1.36, p = 0.001).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17 exophores but not for 7 esophores. Type I fixation disparity curves were most common and type III were the next with the Wesson card. The fixation disparity curve parameters measured with these two instruments are different. So fixation disparity curve parameters obtained from one of these instruments cannot be used with normative findings from the other.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