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검색결과 4

2.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nning principles and historical meaning of Eupchi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 of Eupchi based on analyses of published materials from the Joseon Dynasty. The Joseon Dynasty, which started in 1392, set up Eupchi in a position to effectively govern the whole country. Eupchi was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and became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Eupchi was established based on techniques taken from the capital. Following precedence in the capital, Eupchi was transformed with spaces for Confucian ceremonies. The cityscape of Eupchi was also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villages. Such transformation of Eupchi represents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evelopments found in Eupchi spread around Korea, and mark an important stage i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n urbanization. The Joseon Dynsasty used similar techniques from the capital to establish Eupchi. However, I found some differences between Eupchi and the capital. The Joseon Dynasty recognized that walls could protect not only the capital city but also the country from foreign enemies. Protective walls were required for a capital, but not for Eupchi. In addition, Eupchi did not have commercial institutions supported by the Dynasty. This further demonstrates that different planning principles were used at Eupchi.
5,200원
3.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도시내 친자연공간의 조성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일본 관동지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지는 6개의 사업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사업의 입안 배경을 파악하였다. 각 대상지의 기본구상, 환경조건 및 생태적 조건조사, 계획 및 설계(zoning)과 이용계획, 목표설정 및 관리계획), 자연환경의 정비, 관리, 모니터링에 대한 내용 및 기법을 분석하였다. 도시내에 자연과의 접촉공간 창출을 위해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비오톱조성기법에 의해 환경이설형, 환경창출형, 환경개량형을 기본으로 하였다. 또한 현 환경과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새로운 비오톱을 창출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조성계획시 목표종의 설정은 조성방향성을 명확히 하는데 핵심적인 사항으로 판단되었다.
6,100원
4.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4조 국가 등의 책무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로부터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니고 재난이나 그 밖의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며 발생한 피해를 신속하게 대응·복구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및 시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최 일선에서 재난 발생시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재난현장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대응하고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국가차원의 중앙정부보다 우선적으로 재난현장을 수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처럼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유형별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재난 발생시에는 사전에 수립한 비상대응계획을 바탕으로 반별 업무대로 수행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하여 원래 상태로 돌아갈 수 있게 한다. 강원도 삼척시는 과거 지진해일로 인해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이력이 있어 지진해일에 대한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협업 실무반별 임무 및 역할까지 명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비상대응계획 현황을 검토하고 강원도 삼척시에서 운영하는 지진 및 지진해일 비상대응계획에 대해 조사하여 운영실태를 알아보았다. 또한 재난안전대책본부 협업 실무반별 임무 및 역할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 비상대응계획의 특성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