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업집적의 공간적 패턴과 구조를 분석하여 고집적지(핫스팟)를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및 538개 읍면동 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이용된 방법은 대표적인 공간통계기법 중 고집적지를 찾는데 탁월하다고 알려진 Getis-Ord’s Gi *와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s)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제시된 Flegg’s Location Quotients (FLQ)이다. 이 방법들로 찾은 고집적지는 공통적으로 비슷한 지역을 찾아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집적분석을 통해 산업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산업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경기도가 추구하는 지역혁신체계를 추구하기 위한 클러스터 정책을 펼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100원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습자의 개별 정답 문항에서 얻어지는 단편적인 정보들로부터 평가에 관련되는 지식 전체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는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고등학생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위계와 개별 학생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천문학적 공간개념을 구성하는 요인의 위계는 '공간위치≪공간추리≪공간변화'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평가 자료의 분석은 기존의 평가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평가 문항과 문항 간의 관계와 학생 개개인의 지식상태를 알 수 있게 함으로서 학습자의 수준별 개별화 학습과 교육과정 선정에서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4,000원
        3.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 중 던지기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대한 두 개의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며 12주 동안 24회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문제해결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Tegano, Sawyer와 Moran(1989)의 유아 문제해결력 검사에 기초하여 안경숙(1992)이 사용하고 장경혜(1994)가 수정, 보완한 검사도구를 사용하고 유아의 공간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홍혜경(2001)의 공간능력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 중 던지기 활동은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소인 문제의 발견 및 진술, 문제 해결에 대한 결론짓기와 공간능력의 하위요소인 눈-운동 협응, 공간적 추리, 시각적 기억 및 회상하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물리적 지식활동 중 던지기 활동은 유아의 문제해결력과 공간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