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에 관한 어려움의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 5명과 원장 3명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사회 연계 활동의 어려움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나타났는 데, [계획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주제군은 <자원 자체의 부족>, <장기 계획의 불가능>, <기관 의 협조 부족>, <교직원의 정보 부족>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은 실행 부분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실행에서의 어려움]에 관한 주제군은 <준비되지 못한 물리적 환경>, <부적절한 상호작용>,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주제가 분류되었다. 본 연 구는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활동의 어려움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연계 활동 개발 및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600원
        2.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에서 2012년도에 조 사한 ‘창의적 체험활동 지역사회 운영 모형 개발연구’ 자료 중 중학교(84개 학교) 결과를 활용 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 정도와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와 관련 있는 학교수준의 여러 특 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학교를 창의적 체험활동을 기준으로 상/중/하 그룹으로 구분한 것과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가 상위, 하위 20% 수준에 위치한 학교만을 선택하여 분석 한 것의 두 가지 데이터의 형태로 분석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탐색한 학교수준의 특성은 교사의 참여 수준, 교사의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외부인력 또는 기관의 도움, 지역사회와 네트 워킹 필요성의 4개 항목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는 저조하였다. 전체 학생의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는 3.08, 전체 학교 중 체험활동 효과가 상위 20%에 위치한 학생들의 평균도 3.43으로 보통수준에 그쳤다. 둘째, 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과 외부인력 또는 기관의 도움 정도는 낮았으나, 교사의 참여수준과 지역사회 네트워킹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체험활동 효과는 위 네 가지 특징 중 외부인력 또는 기관의 도움 정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