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Thanksgiving day on the third Sunday of November celebrated in most Korean Churches. But they have raised questions of the meaning of Thanksgiving day because of incongruent time, losing the meaning of service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what Thanksgiving day is appropriate in Korean context. Appropriate contextualization is balanced between the text and the social context. First, we think if Korean Thanksgiving is based on the Biblical text, Korean Thanksgiving is the response of Koreans who God gave grace the same way as Israelites. Having a thankful mind is as biblical as Israel people in the Bible. Second, they wonder if Korean Thanksgiving is appropriative in Korean context. The Korean Thanksgiving is less appropriate. Charles Kraft explained the appropriate contextualization in three crucial dimensions; Relationship, understanding, and freedom. The relationship dimension is that Korean Thanksgiving has cultivated the relationship with God, however, it is less developed than the relationship of neighborhood. The understanding dimension is that Korean Thanksgiving must be established by Korean knowledge through North American’s missiology. The freedom dimension is that Korean Thanksgiving is not enough to show spiritual power as healing and witness. Korean Thanksgiving has had a history of 100 years so it indicates that it is time to move forward to a new direction. We think about Missional works through Korean Thanksgiving. We will respond to God and share with our neighbors in relationship dimension. They will establish Korean Thanksgiving Theology in the understanding dimension; foreign missionaries work, liberation from Japan colon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fter the Korean war. We should expand thankful power for the sick people and societies in the freedom dimensio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is very short compared with Western history. Western mission work has been giving negative effects in Asian context because of forcing western culture and thoughts. In spite of lacking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al aspect, western missionaries devoted Korean evangelism. Korean Christianity has developed wonderfully. Koreans worship the creator God and the saver God. I suggest that Korean Thanksgiving should be more appropriate in the Korean context and also establish thanksgiving missiology and develop methodology for Korean Protestant.
        7,700원
        2.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추수감사절에 지역별로 교회 강단장식에 사용된 표 현 소재의 사용빈도와 장식에 사용되는 색채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대전, 경기도, 충남, 전북, 경남, 강원도의 8 지역의 교회를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소재의 사용빈도는 절 화류, 절엽류, 절지류, 과일 및 채소류, 부소재류로 나누어 조사 하였다. 절화류의 경우 소국외 18종류를 사용하여 장식하였는데 이중 소국이 32곳(80%)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특히 경 기도와 경남 지역은 5곳(100%) 모든 교회에서 사용하여 장식하 였다. 절엽류의 경우 엽란이 뒷받침 소재로서 전국적으로 15곳 (37.5%)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다른 품종은 전체적으로 사 용빈도는 적지만 다양한 소재를 장식에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와 강원지역에서는 엽란 대신 편백을 사용하였 다. 11월에 생산되는 열매의 절지류가 다양하게 많이 활용되고 있었는데, 그중 남천이 전국적으로 21곳(25.5%)에서 활용되어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었다. 추수감사절에 맞게 가을에 수확 한 과일 및 채소류가 가장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는데, 그 중 감(Diospyros kaki)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고(100%) 사과, 배 등 매우 다양한 소재를 장식에 활용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특 히 충남에서 가장 다양한 36종류를 사용하였고 강원도에서는 다 른 지역에 비해 옥수수를 많이 사용하였다. 색채 선호 경향을 보면 가을철 잎이 가지는 색의 3속성을 달리하여 계절의 감각을 표현하였으며 절지류 열매의 색채와 어울리는 빨강, 노랑, 녹색이 8지역 모두 40곳(100%)으로 높은 사용빈도를 나타냈으며, 주황 이 39곳(97.5%)으로 빨강과 노랑의 절지류 열매에 어울리는 장 식 색으로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청록, 파랑, 남색 의 사용빈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가을에 주는 느낌과 대 조되는 색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역별 교회 장식의 소재 별 선호 경향을 보면 절화류와 절엽류 등을 사용하여 장식을 보 다 풍성하게 도와줄 수 있는 과일 및 채소류의 소재가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