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이덩굴쪼김병균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의 소형분생포자는 물한천배지상에서 Fe-EDDHA를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되어 무처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관의 길이는 현저하게 짧았다. Pseudomonas putid의 Siderophore를 처리하였을 때는 포자의 발아율과군사신장이 모두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토양중에 형성된 후막포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영양물질로 Glucose, Peptone을 각각 씩 첨가하였을 때 에 달하는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고, Glucose 와 Asparagine 를 첨가한 처리도 의 발아율을 보였다. 오이의 근권토양에서 후막포자는 발아후 10일된 유묘에서 의 발아율을 보인 반면 2일된 유묘에서는 정도 밖에 안되었으며, 10일 이상 경과된 묘에서도 발아율이 증가되지 않았다. 근권토양에 Fe-EDDHA를 첨가한 처리와 P. putida를 접종한 처리는 후막포자의 발아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근권부위에 영양물질을 첨가한 처리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비근권토양에 영양물질을 첨가하여 후막포자를 발아시켰을 경우 Fe-EDDHA나 P. putida의 발아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인정되지 않았다. 근권토양에서 후막포자 발아 억제효과는 Fe-EDDHA보다 P. putida를 접증한 처리가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s in Korea, but its yields are often reduced by a variety of root pathogens. The root rot of ginseng is a destructive soil-borne disease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teleomorph: Ilyonectria radicicola). To monitor contamination with C. destructans in ginseng harvested in 2015 were sampled from 57 different growing fields. The spore number of C. destructans was quantified by use of a specific primers and selective media (radicicol) in soils of ginseng fields. Methods and Results : The ginseng samples were surface-sterilized and placed on potato dextrose agar plates for 7 day incubation at 20℃. Emerging fungal colonies were counted primarily based on colony and conidia morphology. Further species level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by ITS rDNA sequencing. For quantification of the soil-borne C. destructans, the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soil using a NucleoSpin soil kit (MN, Germany). Density of C. destructans was determined by species specific real time PCR (qPCR). The qPCR was completed by running a melting curve analysis. Conclusion : The C. destructans associated with root rot disease of ginseng were detected in more than 60% in pyeongtaek-1, pochenon-1, jecheon-1, chungju-1 and jinan-4. As results of the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pathogen density and identification clearly clarified in th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