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요 선진국의 아동·청소년 공공 전달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전달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 국가는 아동·청소년을 통합된 정책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으 며, 보편주의 복지 또는 다부처 협업 모델을 통해 서비스의 효율성과 연 계성을 제고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부처 간 분절성과 중복, 지역 간 이 질적 운영으로 통합적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책 대상 의 통합, 중앙-지방 간 역할 재정립, 법·제도 기반 정비 등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전달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작품의 통합성’이 왕부지의 시학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보고, 이를 시 창작의 과정을 따라가며 어떻게 적용되는지 검토하였다. 곧 시 쓰기 전의 창작 관념에서 神의 운용과 現量을 중시하며 ‘하나의 뜻’[一意]이 주도하도록 하였으 며, 실제 시를 쓰는 제작 과정에서는 전편과 통합된 투탈어를 강조하였고, 작품 완성 후 감상할 때는 ‘하얀 바탕의 빛나는 비단’으로 비유되는, 자연스러운 통합성을 이룬 작품을 이상으로 여겼다. 여기에서 現量은 詩想의 단계에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의 전과정에 관여하였다. 情과 景도 작품의 통합성이란 관점에서 상호 의존적인 개념으로 정립되었다. 渾成과 平美의 미학도 작품의 통합성이 전제되어야 가능한 사 실도 확인되었다. 창작론, 작품론, 형태론을 연결시켜 왕부지의 시학을 재구축하려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계에 일정한 기여를 하리라 본다.
본 연구는 아시아, 유럽, 북미지역에서 두 국가간 자본시장과 금융, 자본재, 소비재, 도 ·소매서비스, 공공산업의 두 국가간 자본시장에서 국제차익거래가격결정 모형(IAPM)의 성립여부와 두 국가간 자본시장 통합여부의 결합가설을 검증하였다. 두 국가간 자본시장의 IAPM 성립여부는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합여부는 Chow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별, 산업별 두 국가간 자본시장이 통합되어있다는 가설을 기각할 수 없는 것으로 나와 지역별, 산업별 두 국가간 자본시장이 통합되어 있다고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지역별, 산업별로 통합된 두 국가 자본시장에서 국제분산투자를 실시함으로써 국내분산투자 보다 더 큰 분산투자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