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shion lifestyle types for color planning and to propose color planning of spring & summer by fashion lifestyle by analyzing preferred colors by fashion lifestyle typ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wo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59 using a separately prepared questionnaire and color sample table and also through one-on-on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fashion lifestyl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formation individuality type, display type, and practicality type. Second, regarding basic colors: the basic color consistently used for a long tim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red hue and tone according to the types of fashion lifestyles. Specifically, the most preferred hue of all the fashion lifestyle types was achromatic color N and the most preferred tone was V. Third, regarding color trends: the trendy color occupying a market transien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red hue and preferred tone according to the types of fashion lifestyle. The most preferred hue of all the fashion lifestyle types was B. The most preferred tone of the information individuality type and the display type was V, and that of the practicality type was B. The study found that, in color planning, fashion lifestyles can function as an effective tool to subdivide consumer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I propose that color planning should be based on the type of fashion lifestyle.
        4,500원
        2.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대 패션 산업에서 활용하는 색채 기획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제주의 대표적인 천연 자원 추출물로 면직물을 염색하고 물리적 색채와 트렌드 색채감성을 분석하여 2016S/S 시즌을 목표로 천연염색 유․아동복 디자인을 위한 감성 색채 테마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제주의 전통 염색 자원인 풋감과 주요 농산물인 감귤, 해양식물인 감태를 각각 분말염료로 제조하고 단일 염색과 복합염색을 병행하여 다양한 색채를 면직물에 구현하고, 2016S/S 유행색을 중심으로 Pantone TPX에 매칭하여 시즌 유행색의 감성 이미지를 고려하여 천연염색 유․아동복 디자인 기획에 활용 할 수 있는 감성 색채 테마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제주 천연자원을 이용한 직물 염색 색채는 Purple Blue에서 Green Yellow에 이르는 색상과 pale, light grayish, soft, grayish, dull의 톤을 나타내었다. 이 중에서 38개의 천연염 색 색채가 인터컬러와 한국 CFT에서 제안한 2016S/S 유행색의 일부를 포함한 23종의 Pantone TPX에 매칭되었다. 매칭된 Pantone 색채들을 활용하여 세 가지 컬러웨이를 설정하고 각 컬러웨이의 색채들에 대한 주관적 감성 평가를 실시하여 컬러웨이 그룹별로 차별화되는 색채 감성을 추출하였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2016S/S 유행색 테마에서 가지는 감성 이미지와 염색에 활용된 제주 천연자원의 고유 특성 및 유․아동복에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Serenity’와 ‘Juicy’, ‘Fancy’의 세 가지 색채 감성 테마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행색의 감성에 기반한 색채 기획 프로세스가 확립되지 않은 천연염색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색채기획 가이드 라인을 제공함과 동시에, 제주의 지역 특화 천연염색 색채에서 도출될 수 있는 색채감성 테마를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4,300원
        3.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ways that cooperate between on-line game design and fashion design by analyzing trend color and on-line game character’s costume color in on-line game.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on-line games were selected with reference to www.ranky.com. Second, 2009 SS trend color palettes suggested by Copenhagen International Fashion Fair was used as a criterion of fashion trend. Third, on-line game character's costume color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rend and the game character's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Each on-line game character costume's colors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typical character types. But we can find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fashion trend colors and game character costume's colors. That's because both trends and character types are the results of the continuing interactions between human-beings and societies. In comparison with fashion trend colors, game character costume colors are partly raw and inharmonio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fashion trend color in game character costume design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4,900원
        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블랙컬러 패션소재에 대한 색채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선정한 9종의 블랙 패션소재에 대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촉감 및 구매선호도를 평가시켰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 요인분석, t-test, Kruskal-Wallis검정,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블랙컬러소재의 색채감성을 요인분석 한 결과,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종류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검정 벨벳소재는 이들 색채감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소재로 평가되었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블랙소재가 더 심플/클래식하고 우아하며 현대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들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블랙컬러 패션소재 중에서 촉감이 좋다고 평가된 소재의 경우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촉감과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변인은 색채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컬러 패션소재는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의 색채감성을 나타내었고, 색채감성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상품기획시 추구 이미지에 따라 블랙컬러소재를 차별화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패션마켓은 소비자들의 각기 다른 개개인의 취향을 반영하여 더욱 세분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컨셉과 디자인을 선보 이고 있다. 패션과 패션색채는 사회⋅문화 맥락에서 상징성과 의미를 가지는 대표적 문화 기호이며, 인간의 근원적 욕구인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기표현과 차별화 수단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상징적 가치를 전달하는 시각기호’로서 패션 색채가 변화하는 의미를 지닌 가치대상이며, 동시에 사회적 승인을 기반으로 새로운 상징적 가치를 창출하는 가치행위로 패션마켓에서 사회현상과 함께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arthes의 신화론과 Baudrillard의 소비이론에 근거하여 현재 패션마켓에서 색채의 기준이 되고 있는 중세에서 현대에 이르는 시기적 구분을 14 ~ 16세기 르네상스 전후, 18세기 중반 ~ 19세기 초반까지의 산업혁명 전후, 제 1,2차 세계대전, 20세기 이후로 나누어 특징적인 색채 5가지를 선정하여 기호학 관점으로 패션색채의 변화를 분석하였 다. 패션과 패션색채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이론을 토대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패션의 소비가치 변화, 패션색채 변화의 기호학적 함의, 현대 패션색채 변화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정성적 조사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