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화수소 등 유황계 악취물질은 매우 낮은 최소감지농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출구에서 악취가 검출되지 않는 적정 부하량에 대해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가공하여 제작한 습윤 상태의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하여 현장조건과 유사하게 황화합물악취 H2S 10 ppm, MT 3 ppm, DMS 1.5 ppm 3성분의 혼합가스에 대해 약 130일 동안 제거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2S는 유입부하량을 0.78 g-H2S / kg ACF·d 이하로 설정하여 운전하는 것이 필요하며, MT는 불완전산화 부산물인 DMDS가 출구에서 검출되어 악취를 유발하므로 안정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유입부하량을 0.27 g-MT / kg ACF·d 이하로 설정하여 운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MS는 유입부하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거의 제거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lution‐to‐threshold (D/T) ratio derived by air dilution sensory (ADS) test an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both individual odorant (using H₂S and acetaldehyde (AA)) and their mixture. For the purpose of our comparative study, we prepared both standard gases of two individual compounds and their mixture at 9 concentration levels. Each of all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ADS test,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their odor intensity. The results of individual odorant samples showed the two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ompound. H2S generally showed sensitive detection at low concentration but less sensitive detection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contrast, AA showed fairly contrasting trend with slow increasing sensitivity. When the D/T ratios estimated from individual samples were used to predict those of mixed samples, the results were reflecting the mixed effects of the basic characteristics owned by each individual compound. As the lower and upper odor intensities of mixed samples were best reflected by AA and H2S, respectively, the D/T ratio of mixed samples complied with the larger D/T values of each compound at a given odor intensity.
        4,000원
        3.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국내 생활폐기물 고형연료화 시설은 SRF 생산에 초점을 맞춰 생물할적 처리공정이 결여된 MT 시설의 형태로 도입되었는데 이로 인해 설계 운전범위보다 높은 함수율의 생활폐기물 반입시에 선별 효율 감소로 폐기물 반입량 대비 30~45%의 비율로 잔재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잔재물은 함수율 40% 이상을 보이고 있어 직매립시에서 오염부하를 증가시키고, 또한 매립에 따른 처분비용 발생으로 전체 시설 운영비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매립지 부하 경감 및 고형연료화 시설의 운영비 저감을 위해 발생 잔재물을 재활용 할 필요가 있는데 양 및 질적인 측면을 볼 때, 함수율을 떨어뜨린 후 선별하게 되면 추가적인 SRF를 회수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잔재물의 함수율 저감을 위해 생물학적 처리공정인 Bio-drying을 적용하였다. 이는 폐기물 내 생분해성 유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호기성 분해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폐기물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건조과정에서 자연건조 대비 다량의 배가스(악취 포함)를 배출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잔재물(저품위 혼합폐기물)에 대해 Bio-drying으로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특성 분석 및 해당 악취에 대해 약액세정과 활성탄이 적용된 복합 탈취설비의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