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고령인구의 증가와 장애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재활훈련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재활훈련기와 사 용자간의 제공받아야 할 서비스에 대한 평가 요소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 가에 있어서 평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본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재활의료전문가, 의공학자, 디자이너들의 토의 및 분석,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평가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 디자인 평가 요소들을 수집, 분석하여 10가지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 의 세부 평가항목을 구축하였다. 이는 앞으로 재활훈련기를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될 것이다. 둘째, 헬스케어 재활훈련기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디자인 평가요소로는 사용성, 인지성, 안전성, 학습성, 운동성, 내구성, 경제성, 공간성, 심미성, 환경성의 10가지 디자인 평가요소가 있다. 셋째,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성의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고, 학습성, 안전 성, 운동성, 내구성의 요소는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넷째, 재활 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는 제품디자인요소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환경성, 공간성, 인지성, 사용성, 경제성, 심미 성에 학습성, 안전성, 운동성, 내구성을 의 요소를 더해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기존 제품디자인 평가요소와 재활 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의 차이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와 44개의 세부 평가 항목 구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전체적인 재활훈련기 디자인 평가요소만을 연구한 것으로, 향후연구 에서는 시 제품 제작을 통하여 평가요소들을 실제 재활훈련기 디자인에 적용해 보고, 미진한 점들을 수정 보완 할 예정이다.
        4,600원
        2.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민족무용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인체의 움직임에 담아 형상적으로 체현하는 행위예술로 서 의식과 물질사이를 넘나드는 철학적인 논리성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춤기능 훈련은 의식과 물질, 이념과 형상의 과학적인 논리성을 토대로 하는 방법론과 그에 따르는 훈련 내용이 1차적인 요인이 된다. 이 점에 입각하여 본문에서는 의식성과 물리성의 논리적인 연관성 분석을 토대로 조선민족무용 춤동작의 형성원리 및 그의 특수성과 본질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새로운 훈련기법으로 되는 점(点), 선(線), 면(面), 구(球), 흐름(流)과 변화(變), 긴장(緊)과 이완(松) 이라는 6개의 이념적인 동작훈련 개념을 설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훈련의 과학성과 논리성 및 계통성으로부터 출발하여 훈련내용을 인체 각 부위의 동작방식과 기능방식 및 동작의 특징에 따 라 구분하는 원칙 하에서 형태훈련, 율동훈련, 생리기능훈련, 기교기능훈련 등 방식으로 구분하였 으며 매개 동작마다 상이한 훈련요소와 목적들을 부가하여 조선민족무용 기능훈련의 질적인 효과 성을 추구하였다.
        5,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