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연구와 장애학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the Good Doctor 의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재현이 갖는 의미를 종합적이면서 심 도 있게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사회적 장애 인식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치는 드라마 속 ASD 재현의 실질적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분석 결과 생애주기에 따른 ASD 주인공의 동반 성장 서사를 통해 완전 통합 사회를 구현하였고 다양한 ASD 인물 에피소드를 통해 ASD의 현실 담론을 반영하고 변화 된 ASD 담론을 이끌고 있다. 둘째, 제작과정 분석 결과 생산자인 제작 진은 수용자인 ASD 단체뿐 아니라 다양한 관계자와 소통하며 장애인 당사자 배우 참여 등 발전된 ASD 재현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드라마 속 ASD의 바람직한 재현을 위해 장애 당사자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제작 참여 확대, 시리즈물 제작, ASD의 다양성 재현, 실 질적인 가이드라인 개정, 사회적 장애 인식 개선 교육 확대, 장애인 제 작자 및 배우를 위한 기관이나 프로그램 육성, 드라마에 대한 다각적 심의와 장애 담론의 확산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With the expectation that mobile applications for smart devices have potential media to effectively support the performances and social inclusion of persons with ASD, in this study, we suggest application program with game contents suggestions based potential consumer needs assessment. 4 participants who are mother of child with ASD were interviewed to examine children’s needs assessment of app program and game development. Through this interview 5 basic contents menu were suggested that include the following: “I’m Sick.”, “Question list”, “My schedule: visual support”, “Music: auditory support”, “My picture: making personal dictionary”. These contents menu and UI(User Interface) designs were invented using AppInventor program. Developed app program usability test were executed another 15 parents of child with ASD. All usability tests use 5 point likert scale. Finally, we suggest expectation and proposal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에서는 벼의 주요 해충인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매미목)에 대한 ASD7 벼 품종의 항생적 저항성을 검토하고 EPG(Electrical Penetration Graph) 기법을 이용한 흡즙행동 관찰을 통해 저항성 원인을 추정하였다. 2006년도에 충남 태안지역 에서 채집되어 실내누대사육 중인 끝동매미충은 약충기간 동안 ASD7에서 오대벼(감 수성) 대비 약 4배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약충 발육기간도 ASD7에서 지연이 되었는 데 특히, 4, 5령의 발육기간은 감수성에 비해 약 1.8배로 길었다. 암컷 성충의 산란수 또한 ASD7에서 감수성 품종들에 비해 약 1.4배 이상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D7 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해 약충 생존율 감소와 약충 발육기간 지연, 그리고 성충의 산란수 감소를 보이는 항생적 저항성을 보였다. 한편, EPG 기법을 이용하여 오대벼 와 ASD7에서 끝동매미충 암컷의 흡즙행동을 6시간 동안 기록한 후 분석하였다. 끝 동매미충에서 분리된 7개의 파형들(Nc1, Nc2, Nc3, Nc4, Nc5, Nc6, Nc7) 중에서 오대 벼를 먹인 끝동매미충들 모두가 Nc1-Nc6파형을 보였지만 Nc7파형을 보인 끝동매미 충의 마리 수는 매우 적었다. 반면에 ASD7을 먹인 끝동매미충들 모두가 Nc1-Nc5파 형을 보였고 Nc7파형도 대부분의 끝동매미충들이 보였으나 체관부를 흡즙하는 파형 인 Nc6파형을 보인 끝동매미충의 마리 수는 매우 적었다. Nc6파형을 제외한 나머지 EPG 파형들의 평균 출현 빈도수는 오대벼에 비해 ASD7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구침 을 떼고 흡즙행동을 보지 않는 Nc1파형의 평균 누적시간은 오대벼에 비해 ASD7에서 더 길게 나타난 반면에, 체관부 수액을 흡즙하는 Nc6파형의 평균 누적시간은 ASD7 에 비해 오대벼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로부터 끝동매미충에 대한 ASD7의 항생적 저항성의 주요한 원인은 체관액 흡즙의 곤란으로 인한 영양분 부족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