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중국, 러시아에서 자생하고 있는 가시오갈피에 대한 유전적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Universal primer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시킨 후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ITS의 길이는 162 bp의 5.8S rRNA 유전자를 포함하여 한국산과 중국산은 608 bp 그리고 러시아산은 611 bp로 나타났다. ITS영역의 G+C 함량은 한국산과 중국산이 60.20%이고 러시아산이 60.06%였다. 한국산과 중국산의 ITS영역은 100% 동일하였으며, 러시아산은 한국산과 비교했을 때 3 bp의 염기삽입과 2 bp의 염기치환이 존재하여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한국산 가시오갈피는 러시아산보다 중국산과 유전적 유연관계가 더 가까운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일 속내에서는 오갈피나무보다는 음나무와 ITS 염기서열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산 생약재인 가시오갈피 , 마황, 복분자, 인진쑥을 이용하여 추출과정 중 40℃, 60℃, 100℃로 온도를 달리 하여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과 초음파를 범행한 추출로 인해 면역 활성 증진이 다르게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여러 조건 중 복분자 60℃, 40 kHz의 초음파 병행 추출물이 가장 좋은 항암활성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추출시 모든 열수 추출물들에 비해 초음파 병행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시 열수 추출에서 미쳐 빠져나오지 않았던 여러 활성 물질이 초음파 처리에 의해 공동화현상과 더불어 액체간의 상호 탈기 작용에 의해 추출 수율의 상승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사료된다. Apoptosis 실험에서는 5일 동안 인간 폐암 세포인 A549의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이 좋았던 마황과 복분자의 60℃ 열수 추출물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apoptotic이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 병행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HL-60 세포분화능 실험에서도 열수 추출물보다는 초음파를 병행한 추출물들이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또한 모든 조건 중에서 생약재들이 60℃, 40 kHz 초음파 병행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세포 분화 활성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앞으로 한국산 생약재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더 많은 실험을 통하여 초음파의 병행 처리에 따른 효과와 이를 통한 기능성 소재 및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3.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ve constituents were isolated from the stem of Acanthopanax senticosu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sesamin (1), iso-fraxidin (2), 5-hydroxymethylfurfural (3), syringin (4) and acanthoside D (5) by spectral analysis. Among these compounds, 5-hydroxymethylfurfural (3)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4.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시 오갈피의 지상부 수확량과 유용성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생육이 양호한 품종을 대목으로 접목재배를 하였다. 접목재배한 가시오갈피의 유용성분의 변화를 규명하는 일환으로 정유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시오갈피 잎의 고유 성분 중에서 접목재배로 인하여 함량이 증가한 것은 calarene, α-beramotene, spathulenol 등이고, 감소한 것은 cis-caryophyllene, epizomarene, M204 (tR=2.07)이었으며, β-pinene, β-myrcene, 2,5,5,-trimethyl- 1,3,6-heptatriene, β-elemene 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줄기의 고유 성분은 접목재배와 일반재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접목 1년생보다 3년생에서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가장 많이 함유한 성분은 α-bergamotene으로 27% 정도이었다. 3. 뿌리에서는 좀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ethylbenzene, 2-furancarboxaldehyde, M134 (tR=2.11), M205 (tR=3.16) 등이 측정되지 않았고, 가시오갈피 고유 성분인 6,6-dimethyl-3-methylenbicycloheptane, M166 (tR=1.82), (+) -aromadendrene, β-bisabolene, M204 (tR=3.01) 등이 대목에 새롭게 생성 축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