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인권과 관련된 국내학술연구(학술지 게재논문)를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노인인권 영역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90편의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의 노인인권 연구는 2000년 이후로 본격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연구방법별로 보면 문헌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기타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양적 연구로는 조사방법론이 주로 활용되었다. 전공분야별로 보면 사회복 지학 분야가 가장 많았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의 노인인권 영역에 따라 분류했을 경우, ‘존엄·안전’ 영역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 중 ‘노인학대 및 대응’에 관한 연구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노인인권 실행영 역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전체 16개 실행영역 중 전반에 해당하는 8개 실행영역의 연구가 미흡 또는 전무하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인권 실행영역에서의 고른 학문적 관심과 연구가 필 요함을 제언한다. 그리고 노인인권 영역별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나아가 폭넓은 연구방법론의 활용과 활발한 다학제간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를 목전에 둔 시점에서 신노년의 역할을 배움학적 관점에서 파악한 문헌연구이다. 한국은 2018년경부터는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2026년이 되면 초고령 사회로 변모하게 된다. 1955년 이후로 출생한 베이비부머가 본격적으로 노인세대로 편입되면, 우리사회는 말 그대로 노인국가가 된다. 초고령 사회의 미래 노년의 삶은 참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앞으로 일어날 노년의 사회적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고령사회인 ‘시니어붐’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미래의 노년 교육이 중요하다. 노년교육의 안정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하여 노년을 위한 평생교육을 배움학적으로 바라보고 바람직한 노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하고, 베이비부머의 배움의 활동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노년교육은 환원적이고 파편화되어 있어 유기적이고 총체적인 배움 활동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배움은 조화로운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과도 같다. 배움은 자기실현의 시작이자 마무리이다. 삶의 자기실현 실천을 제시한 이론이 배움학 이론이다. 이는 한준상교수가 주장한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배움은 삶을 위한 밧줄이며 삶의 밧줄 꼬기 과정”으로 미래노년교육의 핵심 키워드이다. 배움학의 배움소인 생명경외, 학습탐구, 연단조리는 모든 세대가 서로 즐기고 함께 성장하는 삶의 뿌리를 제공하며 미래노년교육의 3단 통합원리를 추구한다. 배움소의 3단 통합 원리에 의해 호모 에루디티오로서 노년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학습탐구 배움을 위해 노년은 현실을 직시하고 이에 맞는 직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노년은 생명경외를 기본으로 한 세대 간의 배움을 위해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노년은 연단조리와 함께 하는 정신건강을 위해 영성개발을 해야 한다. 넷째, 노년은 생명경외을 기본으로 한 적극적으로 사회봉사와 사회 참여를 해야 한다. 다섯째 노년은 생명경외를 위한 노년과 모든 세대의 정책을 구축하기 위해서 활발한 정치참여를 해야 한다.
Purpose – With rapid population aging in Korea,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will result in a rise in the fiscal burde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opulation aging on fiscal spending based on Korea’s province data and country panel data from the OEC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se province-level fiscal data from Local Finance Integrated Open System and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nd also collect country panel data from the OEC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ging and fiscal expenditures, our analysis uses the fixed effects model.
Results - The empirical analysis based on Korean local finance and country panel data show that population aging has a positive impact o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and it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spending related to children and the elderly, implying that population aging may lead to an increase in fiscal spending via an increase in social welfare expenditures and spending related to children and the elderly.
Conclusion - Thes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countries like Korea that expect to experience rapid population aging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prepare for the expected increase in age-related spending in the near future.
Aging phenomenon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national policy. This aging phenomenon depends o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egions. Also aging phenomen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spatial dep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patial changes in aging population rate and to find local factors of regional aging phenomenon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For spatial analysis of ageing phenomenon, local Moran’s I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ere applied. As the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of aging phenomenon appeared between 2000 and 2005, and most of hot-spot regions (aged regions) were distributed in Jullanam-do and Jullabuk-do. The results of GWR (R-square: 0.681) shows that total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doctor per 1,000 people and forest area rate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ging population rate, but the number of private academy per 1,000 people has negative 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hollowization in rural villages which causes marginal villages appears in Korean rural villages and whether the hollowization has relation with decrease and aging of population or not.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 survey was carried out focused on Geumsan-gun.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rural out-migration and rural decline especially in 'people', 'land(economic situation)' and 'community' have being progressed. Also varianc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with using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ratio of people over 65 as dependent variables and using each survey contents(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ratio of people over 65(+), the income level per household(-), the rate of fallow lands(+), the number of empty houses(+), programs for urban-rural interchange(+), and the implementing public projects(+), etc. have a relation with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population(-), the income level per household(-), the rate of fallow lands(+), the number of empty houses(+), activities of communities(+), and the implementing public projects(+), etc. have a relation with the ratio of people over 65(+) (+: increase, -: decrease). So the hollowization in people', 'land(economic situation)' and 'community' has direct relation with decrease and aging of population in rural areas.
The aging of farm households has caused serious problems such as productivity slowdown and aggravated income polarization in South Korea. Urban-to-rural migration has been recently suggested as a measure to attenuate the aging of rural population and other related problems. The inflow of migrants for farming can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ies while the natural adjustment of rural population caused by birth and death is slow. This paper forecasts population distribution of different provinces using the Origin-Destination (OD) analysis,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size and directions of migration. In the analysis, nodes where the migration takes place are divided by the industrial sectors (agriculture and non-agriculture), regions, and ages. The results of a ten-year forecast shows that the aging of total population in most provinces will be intensified, but the portion of people over sixty will decrease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is finding implies that migration into rural areas, when occurring by a large extent, can mitigate the aging process and attendant problems.